'삼부토건 의혹' 특검 1호 수사 낙점…김건희 여사 소환 촉각

황인욱 기자 (devenir@dailian.co.kr)

입력 2025.07.03 17:36  수정 2025.07.03 17:53

특검, 삼부토건 피의자 주거지 등 총 13곳 압색

1호 수사 기준에 대해 "가장 먼저 준비가 된 것"

삼부토건 시작으로 수사 외양 확장해 나갈 전망

김 여사 출국금지 신청…조만간 소환 가능성도

민중기 김건희 여사 특별검사팀이 삼부토건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선 3일 서울 종로구 삼부토건 사무실이 입주한 건물로 특검팀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건희 여사 특수검사팀이 삼부토건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특검팀이 다룰 16개 의혹 중 '1호 사건'이 구체화되며 수사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진 김 여사의 소환이 임박했단 관측도 나온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문홍주 특검보는 이날 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브리핑을 통해 "특검은 오늘 오전 특검법 2조1호에 규정된 주식회사 삼부토건 사건과 관련해 삼부토건, 디와이디 회사 6곳 관련 피의자 주거지 7곳 등 총 13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전날 특검팀이 현판식을 한지 하루 만에 나선 조치이자 특검 출범 후 첫 강제수사다. 문 특검보는 김 여사가 연루된 의혹을 받고 있는 16개의 사건 중 삼부토건 의혹과 관련해 강제수사에 나선 이유에 대해 "가장 먼저 준비가 된 것, 그 다음에 국민적 관심사가 가장 큰 사건이 주요한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삼부토건 관련 의혹을 시작점으로 물꼬를 터 나머지 사건에 대한 수사로 확장해 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실제로 특검팀은 경찰에 정치브로커 명태균씨 의혹 관련 사건을 모두 이첩해달라고 요청했고, 서울~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관련 추가 압수수색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의 1호 수사 대상이 된 김 여사의 삼부토건 주가조작 개입 의혹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에서 시작된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핵심 인물로 김 여사의 계좌를 관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부토건 관계자들은 지난 2023년 5~6월 회사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착수한 것처럼 조작해 주가를 끌어올려 수 백억원의 부당 이득 취했다. 이 시기 이 전 대표는 해병대 예비역들이 모인 단체 대화방에 "삼부 내일 체크하고"란 메시지를 올린 것이 확인됐는데, 이에 김 여사가 사건에 연루됐단 의혹이 제기됐다.


김건희 특검법에 따른 16개 수사 대상 중 3대 의혹(도이치모터스·명태균·건진법사 관련 의혹)이 기본적인 사실관계가 상당 부분 확인된 것과 달리 삼부토건 관련 의혹은 이전 수사기관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간 삼부토건 관련 의혹은 사실상 강제수사권이 없는 금융감독원 조사만 이뤄졌다. 금감원은 지난해 9월부터 약 7개월 동안 이 사건을 조사해 올해 4월 전·현직 삼부토건 경영진 5명을 주가조작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단 고발 명단에 김 여사는 포함되지 않았다.


특검은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물증 분석이 끝나면 관련자들을 하나둘씩 부를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삼부토건 주가 조작 사건과 김 여사의 연결고리를 찾아 김 여사를 소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검은 전날 법무부에 김 여사에 대한 출국금지를 신청했다. 김 여사는 명씨 의혹과 관련해 출국금지 조치가 돼 있었는데 특검팀이 연장 차원에서 다시 출국금지를 신청한 것이다.


문 특검보는 김 여사와 이 전 대표 등 핵심 피의자에 대한 조사 여부에 대해 "구체적인 수사와 관련된 내용이라 말씀드릴 수 없다"면서도 "피고발인 위주로 수사가 진행되고 있고, 수사 진행 상황에 따라 물적, 인적 대상도 넓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황인욱 기자 (devenir@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