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연대' 단일화 제안에 거듭 선긋기
"당원이 많은 공감하는 개혁안 가진
후보가 결국 당선 확률 높아지게 될 것"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8·22 전당대회 과정에서 결선투표가 도입될 경우, 이른바 쇄신 세력 간의 연대나 단일화가 필요하지는 않다고 선을 그었다.
안철수 의원은 23일 경기도의회에서 가진 지방의원 커피챗에서 "전당대회를 두고 '극우 논쟁'이라고 하는데 이상하더라"라며 "이게 이념 논쟁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부정선거를 이야기 한다고 극우라고 하는데, 먼저 이 이야기를 한 건 이재명 대통령이다. 그런데 이 대통령은 극우가 아니지 않느냐"라며 "아주 센 주장일 수 있지만 그게 극우 주장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비상계엄도 이를 옹호하는 사람은 극우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박정희 전 대통령도 극우다. 그런데 박 전 대통령을 극우라고 하는 사람은 없다"며 "'우리 당이 극우화 되고 있다'는 절대 맞지 않는 말"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이번 선거는 정말 국민을 공감하게끔 하는 개혁 대 반(反)개혁 구도"라며 "과거에 머무르자는 사람들과 개혁을 해서 우리 당을 외면하고 탈당한 이 사람들부터 끌어안아서 다시 우리를 보게 하고 우리를 신뢰하게 하자는 선거라고 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후 경기 지역 기자간담회에서는 한동훈 전 대표, 조경태 의원 등 쇄신파와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 "결선투표가 도입이 되면 서로 연대라든지 이런 게 꼭 필요하지는 않다"며 "지난 번 대선 경선도 보셨겠다만 4강에서는 반탄(탄핵반대)파 인사 2명, 찬탄(탄핵찬성)파 인사 2명이 올라갔다. 이제 두 명이 남았을 땐 반탄파 한 명, 찬탄파 한 명이 남았다"고 설명했다.
안 의원은 "그런 식으로 당원들이 판단해 그렇게 좁혀 나갔던 것이다. 표를 원래 자기가 생각했던 방향과 맞는 사람에게 몰아주는 방향으로 가니 구태여 후보들끼리 미리 단일화 한다든지, 연대 한다든지 꼭 그럴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또 "오히려 개혁을 한다하면 개혁안이 있을 것 아니냐. 그런데 그게 사람마다 똑같을 수 없다. 다 다르다"라며 "그런 걸 갖고 이제 당원들에게 보여드리고 당원들이 공감을 많이 하는 안을 제시한 후보가 결국 당선 확률이 더 높아지고 그렇게 되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런 과정이 오히려 더 자연스럽고 합리적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