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관, 철새 ‘두견이’ 2.7만㎞ 이동 경로 확인…6일간 쉬지 않고 날기도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5.07.24 12:01  수정 2025.07.24 12:01

아프리카서 겨울 보낸 뒤 이듬해 돌아와

위치추적기 부착해 이동 경로 확인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여름 철새 두견이 모습.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지난해 한국에서 번식한 여름 철새 ‘두견이’가 아프리카 모잠비크에서 겨울을 보낸 후 이듬해 다시 한국으로 되돌아오는 2만7340㎞의 이동 경로를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두견이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탁란(다른 둥지에 알을 낳아 기름)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번식하는 종이다. 5월부터 우리나라 전국에서 관찰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0년부터 철새 이동 경로를 밝히기 위해 매년 ‘철새 이동 생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지난해 5월부터 한국에 도래한 두견이의 이동 경로를 추적 연구한 결과, 유라시아 대륙을 동서로 횡단해 아프리카에서 월동하고 다시 같은 장소로 회귀하는 것을 확인했다.


지난해 5월 제주도에서 위치추적 발신기를 부착한 두견이 두 마리가 그해 8~9월 제주도를 출발해 서쪽으로 이동했다. 두견이들은 중국과 인도, 스리랑카를 거쳐 12월 초에 아라비아해와 인도양을 건너 그해 말에 아프리카 대륙에 도착했다.


한 마리는 모잠비크에서 겨울을 난 후 올해 4월 동쪽으로 이동했다. 이전 해에 이동했던 경로를 반대로 거슬러 6월 초에 제주도로 돌아왔다.


올봄 아프리카 동쪽으로 이동 시 아라비아해와 인도양을 건널 때는 약 4180㎞ 거리를 6일 동안 쉼 없이 횡단한 것을 확인했다.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산새 중 가장 먼 거리의 바다를 이동한 것이다.


유호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위치추적발신기 등으로 두견이 이동 경로를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며 “향후 개체군 이동 경로 등 기초자료 확보와 관리를 위한 국제협력 등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두견이 이동 경로. ⓒ국립생물자원관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