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부터 하수관로 2000㎞ 준설, 빗물받이 70만개소 청소, 노후 관로 53㎞ 정비
민원 다발지역 등 주요 관리지역에 ICT 기반 '스마트 트랩' 활용해 집중 방제
서울특별시청.ⓒ데일리안 DB
서울시는 집중호우와 폭염 등 기후변화로 도심에 쥐의 출몰이 늘어난 가운데 피해를 줄이고자 서식 원인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최근 서울 도심에서 쥐 목격 사례가 일시적으로 늘었다. 전문가들은 폭우로 인한 하수관 침수와 재개발·공사로 인한 서식지 이동 등이 주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시는 최근 5년간 1008㎞의 노후 하수관로를 정비했고 올해 9월부터 연말까지 하수관로 2000㎞ 준설, 빗물받이 70만개소 청소, 노후 관로 53㎞를 정비할 계획이다.
또 2030년까지 매년 노후 하수도 정비 물량을 기존 100㎞에서 200㎞ 규모로 늘릴 방침이다.
음식물쓰레기 감량과 관리를 통해 쥐 먹이원도 차단하고 있다. 연간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은 지난 10년 대비 약 25% 줄었으며, 음식물류 폐기물 누출 방지용 밀폐용기도 확대 보급 중이다.
민원 다발지역 등 주요 관리지역에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스마트 트랩'을 활용해 집중 방제를 하고 있다. 재개발·철거구역 등 위생 취약 지역에 대해서는 정기 방역 등 맞춤형 처방을 내릴 예정이다.
쥐 매개 감염병 발생 역시 안정적으로 관리 중이다. 서울시 렙토스피라증·신증후군출혈열 환자 수는 최근 수년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망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와 함께 시는 최근 도심 출몰이 늘어난 야생 너구리도 감염병 매개 가능성이 확인됨에 따라 대응을 강화한다.
보건환경연구원 검사에서 광견병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어묵 반죽 안에 예방 백신을 넣은 '광견병 미끼 예방약'을 계속 살포하고 있다.
시민 대상 쥐 매개 감염병 예방법 등 홍보도 강화한다. 공공구역에서 쥐를 발견했을 때는 직접 잡거나 만지지 말고 120 다산콜센터 또는 관할 자치구 보건소로 신고해야 한다.
야생 너구리를 비롯한 도심 야생동물을 발견한 경우에도 직접 접촉하지 말고 즉시 신고해달라고 시는 당부했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시민들께서는 쥐 발견 시 즉시 신고하고, 음식물쓰레기 배출 요령 준수와 개인위생 관리에 협조해 주시기를 바란다"며 "최근 출몰이 늘어난 야생 너구리도 불필요한 접촉을 피하고 발견 즉시 신고하는 등 안전 수칙을 지켜달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