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이재명 대통령 '성남라인' 김현지
국정감사 증인 채택 여부에 갑론을박
金 "출석하는 것이 국민주권정부 원칙"
'조희대 회동설'엔 "당사자 소명 필요"
친명(친이재명)계 핵심 인사인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성남라인'으로 불리는 김현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의 국회 국정감사 출석 논란에 대해 "증인으로 채택하고 나오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이고 국민주권 정부가 지켜야 할 원칙"이라고 밝혔다.
김영진 의원은 25일 MBC라디오 '시선집중'에서 "상식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내가 문재인정부 당시 여당 원내수석으로 (야당과 협의할 때) 국정감사의 증인 채택 과정에서 총무비서관이 논란이 됐던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며 "그냥 당연직으로 국정감사의 대상이다. 총무비서관이든 법무비서관이든 정무비서관이든 국민의 대표인 국회에 나와서 공직자로서 자기 입장을 표명하는 게 필요하다고 상식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은 전날 "(김 비서관을 국감 증인으로 불러) 정쟁으로 삼으려는 국민의힘 의도에 동조할 수 없다"며 증인 채택을 거부했다. 이에 국회 운영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유상범 의원은 "김 비서관은 절대 불러서는 안 되는 존엄한 존재냐"며 "지난 1992년 14대 국회 이후 총무비서관이 국감 증인에서 제외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추미애 의원 등 강경파들이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를 열기로 한 데 대해서는 "급발진"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대법원장 청문회라고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사안인데, 당내 전체와 지도부와 상의하면서 사전 준비 절차를 잘 거쳐서 그 필요성에 대한 상호 인식과 동의 하에 진행했으면 좋았겠다"며 "너무 급하게 하지 않았느냐"라고 했다.
추 위원장 등 법사위원들이 당 지도부와 의논하지 않고 청문회 개최를 밀어붙인 이유에 대해서는 "사안의 성격상 이런 정도의 무게를 가지고 하는 사안이면 당 지도부, 원내 지도부와 충분히 논의하고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 의원 대부분의 생각"이라며 "아마 법사위 내에서 (청문회를 하자는) 논의가 많이 진행되면서 (지도부와 상의 없이 강행) 결정하지 않았나 한다"고 했다.
서영교 의원과 부승찬 의원 등 당 내부에서 조 대법원장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의 '4인 비밀 회동설'을 제기한 뒤, 이를 청문회와 수사로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것과 관련해선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가지고 청문회를 여는 것 자체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법원장과 국무총리는 경호 인력이 다 붙어 있기 때문에, 두 사람의 일정은 비공개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공개인 일정밖에 없다"며 "그 문제에 관해서는 서 의원이나 부 의원, 추 위원장이 조금 더 소명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법사위에서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간사 선임을 놓고 여야가 충돌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양당의 간사 선임 문제를 놓고 이렇게 전쟁을 치를 필요는 없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라며 "본질 외적인 문제로 법사위 운영이 파행되거나 서로 안 좋은 모습으로 마치 법사위가 모든 정치를 대변하는 것처럼 비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절제되고 조정돼야 한다"고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