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추석 하루 앞두고 '민생경제 공방' 벌여
국힘 "현실진단 대신 남탓에만 몰두하고 있어"
민주 "민생·경제를 살리는데 여야가 따로 없다"
추석을 하루 앞둔 5일 여야(與野)는 생활물가 상승 등 민생경제를 두고 서로를 탓하며 공방을 주고 받았다. 국민의힘은 정부와 민주당의 '포퓰리즘 정책'을 원인이라고 했고,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이 '발목잡기 정치'를 하고 있다며 서로에게 책임 떠넘기기를 벌였다.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논평을 내고 "추석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가 급등하고 있다. 국민은 '장보기가 겁난다'고 호소한다"며 "이재명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 상승을 기업의 불공정거래 탓으로 돌린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물가 폭등의 근본 원인은 민생쿠폰 등으로 돈을 뿌린 포퓰리즘 정책 때문"이라며 "전문가들조차 물가만 오르고 끝날 수 있다고 지적하지만 현실 진단 대신 남 탓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이재명 대통령은 바나나 수출 가격이 왜 나라마다 다르냐며 국제 가격 차이를 문제 삼았지만,시장경제의 기본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며 "시장가격은 환율, 물류비, 수요와 공급 등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된다. 이런 기초 상식조차 부정하는 대통령의 경제관에 국민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원하는 것은 보여주기식 쿠폰이 아니라 장바구니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물가 안정"이라며 "서민의 밥상 물가를 실질적으로 안정시킬 근본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추석 명절 인사를 통해 '국민 통합'과 '성장 회복'이라는 민생정책 방향성을 제시했다.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데 여야가 따로 있을 순 없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국민의힘은 정쟁을 위한 마구잡이식 '발목 잡기' 정치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대통령의 의지에 국회가 반드시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는 갈등의 정치를 넘어 국민을 위한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야 한다"며 "국정 안정과 책임의 정치만이 국민의힘이 공당으로 거듭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가데이터처가 지난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 상승했으며, 빵(6.5%), 커피(15.6%),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 식품 물가가 특히 큰 폭으로 오르는 등 가공식품과 축·수산물 등 먹거리 물가를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가 지속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