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상계뉴타운'서 현장 목소리 청취…오세훈과 對'李정부' 공세 고삐 죈다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입력 2025.10.23 18:15  수정 2025.10.23 18:19

국민의힘 부동산 정상화 특위, 오세훈과 현장 방문

'10·15 대책'으로 사업 차질 발생된 상계 재촉지구로

"현장 목소리 청취 및 실효성 있는 대안 마련할 것"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22일 오전 국회에서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국민의힘이 이재명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에 반발하며 연일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민심의 역풍이 거세지는 만큼 현장을 직접 찾아 점검하면서 이를 정부·여당 반격의 발판으로 삼아 적극 대응에 나서겠다는 복안이다.


장동혁 대표와 송언석 원내대표를 비롯해 국민의힘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별위원회와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은 24일 상계재정비촉진지구(상계뉴타운) 5구역인 노원구를 찾고 현장 목소리를 청취한다.


상계 재촉지구 5구역은 장기 정체를 뚫고 사업 본격 추진 단계에 돌입했으나,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사업 지연 우려가 제기된 곳이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과 서울시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 대표 재개발 지역을 중심으로 당정협의회를 열고 민생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한 뒤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부동산 정책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서민 주거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구상이다.


국민의힘은 이 대통령의 정책으로 시민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실질적인 대응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장동혁 대표가 특위 위원장을 직접 맡으며 공세의 고삐를 더욱 죄겠다는 의지 또한 드러냈다.


앞서 국민의힘은 지난 21일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위'를 발족하고 장 대표를 위원장으로, 김도읍 정책위의장을 부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위원으로는 조은희·권영진·박수영·강민국·김은혜·조정훈 의원이 참여한다. 원외에서는 심교언 건국대 교수가 합류했고, 이날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가 추가로 위원에 위촉됐다.


장동혁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재명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의 부동산 정책은 대국민 사기극이라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며 "수억원·수십억원을 빚을 내 집 사는 게 맞느냐며 내 집 마련 꿈을 비난했던 여당 (정청래) 원내대표는 이미 초고가 지역에 초고가 아파트를 가지고 있었다"고 일갈했다.


장 대표는 "부동산 강제 봉쇄령으로 국민은 오갈 곳을 잃었는데 이재명 정권의 핵심 인사들은 다른 세상에 살고 있다"며 "이 대통령은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 투기 수요를 잡으라는데, 이 투기 수요는 내 집 한 칸을 마련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는 국민에게만 해당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을 대신해 강력하게 경고한다.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밀려나는 '주거 난민'이 많아지고 있다"며 "부동산을 그저 투기 수요로 치부하는 삐뚤어진 인식, 규제와 세금으로 시장 통제한다는 잘못된 판단 위에서 나온 부동산 정책은 반드시 실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부동산 정책으로 더불어민주당 역시 관련 특위를 구성하며 수습에 나섰지만, 여진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여권 내에서도 이상경 국토교통부 제1차관 등의 부적절한 발언이 이어지면서 민심이 더욱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경 제1차관이 이날 결국 대국민 사과문까지 발표했으나, 이 논란 역시 국민의힘이 공세를 강화하는 주요 수단으로 작용됐다. 여당 내부의 혼선과 정책 신뢰도 하락을 부각하며 이 대통령의 부동산 대책 전반을 정면으로 겨냥하는 명분으로 삼았다.


최보윤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제1차관을 겨냥해 "대단히 잘못됐고 국민에게 공감을 주는 정책이 아니라 국민에게 화를 내게 하는 발언"이라며 "민주당이 대신 사과하는 것도 국민들이 보기에 부적절하고 국민의 신뢰를 갖춰야 할 국토부 차관이 이런 발언을 했다는 게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나갈지 불안이 증폭되고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소가 되는 점에서 당연히 사퇴를 고려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현장'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