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복지 행정의 허점으로 인해 사회보장급여가 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발생한 부정수급과 과오지급 규모가 2400억원을 넘는 가운데 고의적 부정수급보다 행정 착오로 인한 지급 오류가 두 배 이상 많았다.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사회보장급여 부정수급·과오지급 금액은 총 2415억원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20년 274억원에서 2024년 576억원으로 2배 이상 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2024년 기준 부정수급보다 행정 착오가 2배 이상 많았다. 전체 576억원 중 고의적 부정수급은 180억원(31.3%)인 반면, 비고의적 과오지급은 396억원(68.7%)으로 집계됐다.
제도적 허점과 현장 행정의 부주의가 복지재정 누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급여 유형별로는 기초생계급여에서 부정수급·과오지급이 집중됐다. 지난해 기준 전체 576억원 중 445억원이 기초생계급여에서 발생해 77%를 차지했다. 기초연금(42억원), 영유아복지(34억원), 아동수당(27억원)에서도 지급 오류가 확인됐다.
백 의원은 “고의성이 없는 과오지급이 고의적 부정수급보다 2.2배나 많다는 것은 현행 사회보장급여 관리 시스템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