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2025] 엔비디아, 韓기업과 AI 초협력…블랙웰 '26만장' 상륙

데일리안 경주(경북) =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입력 2025.10.31 15:00  수정 2025.10.31 15:00

삼성·SK·현대차·LG·네이버와 AI 대연합 구축

韓30만 GPU 구축 제조·모빌리티·통신 등 협력

젠슨 황 CEO, 이날 미디어 브리핑에서 구체화

전날 이재용·정의선·젠슨 황, 3자 치킨집 회동

젠슨황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그래픽카드(GPU) '지포스' 출시 25주년 행사에서 단상에 올라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를 비롯해 삼성전자, SK, 현대자동차, LG, 네이버 등 우리 기업들과 대규모 인공지능(AI) 협력을 공식화했다. 국내 주요 기업들은 26만개의 엔비디아 차세대 GPU(그래픽저장장치) '블랙웰'을 도입한다.


레이몬드 테(Raymond Teh) 엔비디아 상무는 지난 30일 온라인 미디어 프리프리핑을 열고 "삼성·SK·현대차 등 한국 기업은 각각 5만 개의 GPU를,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개의 블랙웰 GPU를 도입할 예정"이라며 "이번 협력이 한국을 세계 최고 수준의 AI 국가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의 AI GPU 보유량은 기존 약 6만5000개에서 30만개 이상으로 다섯 배 가까이 증가하게 된다. 30만개 GPU는 중형 데이터센터를 약 4-5곳을 채울 수 있는 규모로, 향후 기업은 물론 AI 국가 전략에도 힘을 보탤 전망이다.


삼성, 엔비디아와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HBM4 공급까지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와 손잡고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약 5만 개의 GPU를 기반으로 반도체 제조 전 과정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하고, 공정 효율을 극대화하는 지능형 제조 혁신 체계를 구축한다.


삼성전자가 추진하는 AI 팩토리는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지능형 제조 혁신 플랫폼이다. 반도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에 AI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개발∙양산 주기를 단축하고, 제조 효율성과 품질 경쟁력을 혁신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HBM4 공급을 엔비디아와 긴밀하게 협의 중이다. 초고대역폭과 저전력 특성을 바탕으로 AI 모델 학습과 추론 속도를 높여 엔비디아의 AI 플랫폼 성능 향상에 핵심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은 또 엔비디아의 'Cosmos' 플랫폼과 AI 그룹 역량을 접목해 차세대 홈 로봇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 레이몬드 테 상무는 "양사는 제조·로보틱스·AI 모델의 경계를 확장해 새로운 산업지능을 구축할 것"이라 밝혔다.


SK그룹도 AI 팩토리 건설…SK하이닉스은 메모리 공동 개발


SK그룹 역시 엔비디아와 디지털 트윈 및 AI 에이전트 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현재 SK그룹은 5만 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가 적용될 AI 팩토리를 건설 중이다. 1단계는 2027년 말 완공 예정으로, 완공 시 한국 최대 규모 AI 공장 중 하나가 될 전망이다.


이 공장은 SK하이닉스·SK텔레콤(SKT) 등 계열사가 대거 참여한다. 이를 통해 우리 정부와 산업계는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프로젝트를 보다 가속화할 수 있게 된다.


이번 파트너십 확장으로, 양사는 SK하이닉스 HBM(고대역폭메모리) 및 차세대 고급 메모리 솔루션을 엔비디아 GPU·반도체·통신 인프라용으로 공동 개발에 나선다.


현대차그룹, 엔비디아와 맞손…모든 혁신 함께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엔비디아의 약 5만 개 블랙웰 GPU를 투입해 AI 기반 스마트시티 및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핵심 피지컬 AI 기술의 공동 혁신이라는 새로운 협력 단계로 나아갈 예정이다.


또한 양사는 한국 정부의 국가 피지컬 AI 클러스터 구축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관계자들과 협력, 피지컬 AI 생태계 발전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이는 약 3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수반한다


핵심 추진 사항으로는 ▲엔비디아 AI 기술 센터(AI Technology Center) ▲현대차그룹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Physical AI Application Center) ▲ 데이터센터 국내 설립 등이 포함된다.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 AI 팩토리를 바탕으로 핵심 인프라를 구축해 혁신의 모든 단계를 뒷받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차량 내 AI, 자율주행, 생산 효율화, 로보틱스를 지능적이고 상호 연결된 단일 생태계로 통합한다.


LG AI연구원, 엔비디아와 AI 추론 모델 개발 협력

엔비디아는 LG와의 AI 추론 모델 개발 협력을 공개했다.


LG AI 연구원은 'AVA Neumotro', 'CLW' 등 고성능 추론 모델을 개발 중이며, 엔비디아는 이를 기반으로 기업·연구자·스타트업이 음성추론·로보틱스 등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레이몬드 테 상무는 "LG와 함께 로보틱스 분야를 발전시키고, 암 진단 등 LG의 AI 모델을 활용해 스타트업과 학계까지 폭넓게 지원할 것"이라며 "기업, 연구자, 스타트업은 이러한 모델을 활용해 음성 추론 등 다양한 기능의 AI 에이전트를 설계·개발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네이버, '피지컬 AI' 플랫폼 개발 참여…통신사도 합류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현장의 AI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AI 기술이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등 차세대 기술 역량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Omniverse), 아이작 심(Isaac Sim) 등 3D 시뮬레이션·로보틱스 플랫폼을 결합해 현실 산업 환경을 가상 공간에서 정밀하게 재현하고, AI가 분석·판단·제어를 지원할 수 있는 구조로 피지컬 AI 플랫폼을 구현해 나갈 예정이다.


통신 분야에서도 삼성전자·SK텔레콤·KT·LG유플러스·연세대가 공동으로 'AI 기반 무선 접속 네트워크(AI RAN SXG)' 개발에 나선다. GPU 컴퓨팅을 엣지·기지국으로 확장해 저전력·고성능 AI 네트워크를 구현, 실시간 연결성과 에너지 효율을 모두 잡겠다는 구상이다.


엔비디아는 '정성적(Quantum-Inspired) 컴퓨팅 연구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국가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 공동으로 양자컴퓨팅·하이브리드 연구, 과학 연구용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NVIDIA CAU 플랫폼 활용 교육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는다. 황 CEO는 이번 미디어 간담회를 통해 이같은 협력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예정이다. 황 CEO는 전날 이재용, 정의선 회장과 서울 삼성동에서 회동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