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재준 "추경호 구속 시도는 '제2의 정승화 체포'…무혐의 처분 내려야"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입력 2025.11.03 14:58  수정 2025.11.03 17:52

"국민의힘이 도와주기로 했다는 진술 없어"

"추경호, 계엄 관여 않았다 보는 게 합리적"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전 원내대표)가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설치된 내란 특검(조은석 특별검사)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인 우재준 의원이 비상계엄 해체 표결 방해 의혹을 받는 추경호 의원(전 원내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할 것이란 내란 특검팀을 향해 "12·12와 정승화 (전 육군참모)총장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돌아볼 때, 지금 특검이 해야 할 일은 구속영장 청구가 아니라 무고한 추 (전 원내)대표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재준 의원은 3일 페이스북에 내란 특검팀이 이르면 이날 추 의원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할 수 있단 내용의 기사를 공유하면서 "무리하게 (추 의원에 대한) 구속을 시도한다면, 이는 아이러니하게도 제2의 정승화 체포와 다를바 없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에 참여한 의원 중 한 명이다.


그는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 당시 정 전 총장은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과 함께 현장에 있었다"며 "대통령이 피살된 전대미문의 사건 앞에서, 혹여나 육군참모총장 또한 연루된 것은 아닌지 의심받은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그러나 역사가 증명하듯 정승화 총장은 김재규 부장에게 일시적으로 이용당했을 뿐, 시해 사건과는 무관했다"며 "오히려 김재규 체포를 지시한 인물로 조사 결과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당시 수사를 담당한 보안사는 이러한 사실을 무시한 채 정승화 총장을 강제로 체포하고, 죄를 덮어씌웠다"며 "이 사건이 바로 영화 '서울의 봄'의 배경이 된 12·12"라고 덧붙였다.


우 의원은 "흔히 군부 쿠데타나 권력 투쟁으로 해석되지만, 본질은 수사기관이 죄 없는 사람에게 혐의를 씌운 사건이었다"며 "이 점에서 정승화 총장과 가장 닮은 처지에 놓인 인물이 바로 추경호 대표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계엄 해제 과정에서 우리 당 의원들의 혼선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추 대표가 의심받는 것은 이해할 만한 일"이라면서도 "하지만 몇 달간의 조사에도 불구하고 추 대표가 직접 관여했다는 증거는 단 한 차례도 나오지 않았고, 수많은 CCTV, 보고서, 쪽지 등이 공개되고, 계엄 관계자와 군인들이 더 이상 눈치를 보지 않고 진술하고 있음에도, 누구도 '국민의힘이 도와주기로 했다'는 진술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의원총회 소집 문자가 혼선을 빚은 것 또한 국회가 이미 봉쇄된 상황에서 원내대표로서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민의힘과 추 대표가 계엄 사태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그런데도 무리하게 구속을 시도 한다면, 이는 아이러니하게도 제2의 정승화 체포와 다를바 없다"고 경고했다.


한편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의 계엄 해제 표결 방해했단 의혹을 수사 중인 내란 특검팀은 이르면 오늘 추 의원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지난달 30일 추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한 뒤, 사안의 중대성 등을 고려해 구속 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