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준장 진급자에 '삼정검' 수여…'계엄버스' 탑승자 등은 보류

맹찬호 기자 (maengho@dailian.co.kr)

입력 2025.11.19 14:10  수정 2025.11.19 14:17

계엄 의혹 있는 인원 10여명 수여 보류돼

삼정검 수여식 ⓒ국방부

국방부가 준장 진급 예정자 및 준장 진급자들에게 대통령이 장군에 하사하는 '삼정검' 수여식을 진행했다. 다만 12·3 비상계엄 사태에 연류된 준장 진급자들에게는 보류한 것으로 파악됐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19일 서울 용산 국방컨벤션에서 열린 삼정검 수여식에서 준장 진급 예정자 및 진급자 총 89명에게 삼정검을 수여했다.


지난해 진급자로 선발됐지만 장성 정원 문제로 아직 발령받지 못해 현재 준장(진)인 인원과 작년 6월 1일 이후 '진급 명령'이 발령된 준장 진급자가 대상이다. 다만 이들 중 비상계엄 관여 사실이 확인됐거나 관련 의혹으로 수사·조사를 받는 인원 10여명은 삼정검 수여가 보류됐다.


국군방첩사령부의 선거관리위원회 출동에 관여한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 계엄군 국회 안내 의혹을 받는 전 국회협력단장, 계엄사령부 참모진 구성을 위해 계룡대 육군본부에서 서울로 출발한 이른바 '계엄 버스' 탑승 인원 등이다.


안 장관은 취임 이후 내란 관여 인사는 진급에서 배제할 방침이다. 진급 예정자라 하더라도 관여 사실이 확인될 경우 진급을 취소시키겠다고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준장 진급자 삼정검 수여식은 작년 2월 이후 약 1년 9개월 만이다. 통상 매해 연초에 수여하지만, 비상계엄과 탄핵심판 사태 등으로 늦춰졌다. 앞서 국방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인 지난 5월 89명에게 삼정검 개별 수령을 통보했다가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삼정검은 대통령 하사품의 하나다. 국가와 국민에 대한 충성심과 사명감을 높이기 위해 1987년부터 준장 진급 장성에게 수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검 사인검의 형태로, 육·해·공군의 3군이 일치해 호국·통일·번영의 정신을 달성하라는 의미가 있다.


삼정검 수여는 2017년까지는 국방부 장관이 진행한 뒤 2018년부터 대통령 주관으로 실시해 왔다. 올해부터는 장관 수여로 바뀌었다.


국방부는 대통령 해외순방 일정과 수여식이 이미 장기간 늦어진 상황 등을 고려해 이번에 한해 장관이 위임해 수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진급자에게 "국민의 군대로서 헌법적 가치를 수호하는 군 본연의 임무에 최선을 다하라"며 "각급부대의 지휘관으로서 우리 군이 명예와 신뢰를 다시 회복하는 데 앞장서 달라"고 당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맹찬호 기자 (maengh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