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언 거부 의사 밝혔지만 일부 질문에 입 열어
"韓은 계엄 재고 요청…장관들도 악영향 우려"
"오래가지 않을 계엄이니 걱정 말라 설득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사진공동취재단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재판에 증인으로 나온 윤석열 전 대통령이 앞서 증언을 거부한 이상민·김용현 전 장관과 달리 입을 열고 국무위원들은 비상계엄을 반대했다고 증언했다. 윤 전 대통령이 재판에 증인으로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3부(이진관 부장판사)는 19일 한 전 총리의 내란 우두머리 방조 등 혐의 사건 공판기일을 열고 윤 전 대통령을 증인으로 불렀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일찍이 증인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으나 이날 이를 번복하고 법정에 출석했다.
윤 전 대통령은 증인 선서는 하되 진행 중인 본인 재판과 관련한 질문에는 증언 거부 의사를 밝혔다. 이 전 장관과 김 전 장관도 이 사건 재판에서 증언을 거부한 바 있다.
윤 전 대통령은 그러나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일부 질문에 대해선 조목조목 반박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검의 질문을 두고 비과학적·추정적·취조적 성격이라 부적절하다고 지적하면서도 중요한 대목에선 구체적인 증언을 내놨다.
윤 전 대통령은 "일 년이 다 돼가니 자세한 건 기억이 잘 안 나지만 한 전 총리는 계엄에 반대한다는 취지로 재고를 요청했다"며 "다른 국무위원들도 본인 부처에 미칠 악영향을 얘기하는 등 부정적인 의견이었다"고 밝혔다.
최상목 당시 기획재정부 장관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등 부정적 반응이 이어졌다는 게 윤 전 대통령의 증언이다. 이에 윤 전 대통령은 "오래가지 않고 끝날 계엄이라 걱정하지 말라고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 당시 최소한의 병력을 질서 있게 투입하려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여론조사 꽃, 더불어민주당 당사, 모 언론사에 병력을 보내야 할 것 같다는 전화도 받았다"면서 "저는 펄쩍 뛰었다. 민간기관에 보내지 말라고 했다. 그래서 전부 중단됐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 직전 국무회의는 단지 외관을 갖추려 했던 것 아닌가'라는 특검의 질문에도 "너무 개인 의사가 반영된 질문이 아닌가"라며 총리의 재고 건의 등 국무위원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였다고 반박했다.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 이후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통화한 내용을 묻는 말에는 "원래 당대표를 통하지 않고 원내대표와 직접 소통하는 일이 많다"며 "사전에 보안 때문에 계엄을 미리 말하지 못해 미안하다는 취지로 얘기했다"고 답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