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서울 양천구 신정동에서 일어난 연쇄 살인 미제 사건의 피의자가 사건 발생 20년 만에 특정됐다.
ⓒSBS 그것이 알고싶다
21일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신정동 연쇄살인 사건 피의자를 희생자들이 방문한 빌딩의 당시 건물 관리인이던 A씨로 최종 특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A씨가 이미 10년 전 사망한 터라 불송치(공소권 없음)로 종결할 예정이다.
A씨는 2005년 6월6일 신정동의 한 빌딩을 방문했다가 귀가하던 20대 여성을 창고로 끌고 가 금품을 갈취한 뒤, 성폭행하고 목을 졸라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 이후 시신을 쌀 포대에 씌워 한 초등학교 인근 노상 주차장에 유기했다.
같은 해 11월20일에도 같은 빌딩을 방문한 40대 여성을 창고로 끌고 가 유사한 범행을 저질렀다. 이 여성의 늑골이 골절되는 수준의 상해를 입히고 목을 졸라 살해했다. 이후 신정동 주택가 노상 주차장에 시신을 유기했다.
미제사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라
'엽기토끼 신발장' 사건과는 무관
이 사건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계기는 2015년 SBS 다큐멘터리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다루면서다. 2006년 5월 신정동 반지하 주택에서 발생한 납치미수 사건의 범인과 A씨가 동일인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생존한 여성이 "범인이 숨었던 윗집 신발장에 엽기토끼 스티커가 붙어 있었다"는 취지로 증언해 '신정동 엽기토끼 살인사건'으로 불렸다.
그러나 수사 결과 2005년 연쇄 살인 피의자와 2006년 납치 미수 사건 범인은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A씨는 납치 미수 사건이 발생한 2006년 5월, 별도의 강간치상 혐의로 수감돼 있었기 때문이다.
2005년 6월 1차 범행 당시 피의자 장모씨가 포대와 노끈으로 결박해 초등학교 인근에 유기한 피해자의 시신 ⓒ울경찰청 제공
연쇄 살인 사건은 관할 서울 양천경찰서가 8년간 수사했으나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해 2013년 미제사건으로 분류됐다. 이후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 미제사건전담팀이 2016년 이어 받아 수사를 재개했다.
경찰은 2016년과 2020년 두 차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증거물 재감정을 의뢰했고, 2005년 살인 2건이 1명의 소행인 걸 확인했다. 1·2차 사건 증거물(속옷과 노끈)에서 나온 용의자의 DNA로 동일범 소행이라는 사실을 확정할 수 있었다.
경찰은 동일 수법 전과자, 신정동 전·출입자 등 23만1897명을 수사 대상자로 선정하고 1514명의 유전자를 채취·대조, 국제공조수사까지 이어갔으나 강간살인범 유전자 정보(DNA)와 일치하는 DNA를 확인하지 못했다.
이후 미제사건전담팀은 사망한 용의자 56명을 대상으로 수사망을 확대했고, 동일 수법 전과와 신정동 근무 이력 등이 있는 A씨를 유력 용의자로 특정했다.
A씨는 사건 발생 10년이 지난 2015년 7월4일 사망해 화장됐다. 생전에 사용한 물품 등도 변질돼 DNA 대조가 불가능했다. 이에 경찰은 경기 부천, 광명, 시흥 소재 병원 등 40곳을 탐문한 끝에 A씨 검체를 보관하고 있는 병원을 찾았다. 검체를 확보해 분석한 결과, A씨와 현장에서 채취된 DNA가 일치한 걸로 확인되면서 경찰은 A씨를 범인으로 특정했다.
경찰 관계자는 "앞으로도 '살인범은 저승까지 추격한다'는 각오로, 장기미제 사건의 진실을 범인의 생사와 관계없이 끝까지 규명하겠다"며 "오랜 시간 경찰을 믿고 기다려주신 유가족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