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의 비결은 기술에 대한 투자, 그리고 강자와의 합병"
"AI, 웹3 화두…웹3 강자 두나무와 합쳐 새로운 기회 도전"
27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 1784에서 열린 3사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기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네이버
“네이버를 두고 큰 회사, 공룡이라고들 합니다. 저도 공룡이었으면 좋겠는데, 글로벌하게 보면 빅테크에 비해 시가총액이든 연구개발 투자든 100분의 1 수준으로 작은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자신이 창업한 회사의 현주소를 이같이 평가했다. 이런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글로벌 무대에서 ‘진짜 공룡’인 빅테크에 맞서 AI와 웹3간 결합이라는 산업 패러다임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웹3 강자 두나무와 한 몸이 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27일 네이버 사옥인 1784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의장이 밝힌 양사간 기업 결합 추진의 배경이다.
진회색 수트와 흰색 셔츠 차림으로 무대에 등장한 이 의장은 그동안 네이버를 이끌며 생존을 위해 분투해온 과정을 간단히 언급했다. 그는 “지난 25년간 매년 생존을 고민할 만큼 어려운 경쟁을 해왔다. 토종 업체가 자국 검색엔진 시장을 장악한 사례는 전세계에서 네이버밖에 없다는 것은 그정도로 경쟁이 힘들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쟁에서 살아남았던 비결은 기술에 진심으로 투자하고 개발에 전념해 온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검색엔진 뿐 아니라 AI, 나아가 해외 빅테크가 잘 알지 못하는 웹툰이나 상거래에도 집중해 왔다”고 돌아봤다.
이 의장은 또 하나의 생존 비결로 ‘합병’을 꼽았다. 그는 “혼자만으로는 워낙 어렵고 힘든 경쟁이어서 다른 좋은 기술과 좋은 서비스를 갖고 있는 회사와 힘을 합칠 줄 알았다”면서 PC시대 한게임과 합병한 사례와, 모바일 시대에 일본에 진출해 라인을 키운 사례를 예로 들었다.
이번 두나무와의 합병 역시 그 일환이라고 이 의장은 맥락을 이어갔다. 그는 “지금은 AI와 웹3라는 화두가 있는데, 여기서도 저희 혼자가 해나가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의미 있는 경쟁을 해 나가려면 웹3에서 가장 좋은 기술과 이해력을 갖고 있는 이와 합쳐야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두나무가 가진 웹3 경쟁력을 기업결합을 추진하게 된 가장 큰 배경으로 지목한 것이다.
이 의장은 “합병을 통해 각자 살아왔던 조직을 새 조직으로 만들려면 희생도 필요하고 많은 게 필요 하다”면서 “쉬운 길을 가지 않고 이런 어려운 길을 선택하는 것은 힘을 합쳐 글로벌하게 진출하겠다는 꿈과 사명감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두 회사가 힘을 합쳐서 세계에 없는 AI와 웹3 융합이라는 저희만의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기회에 도전해 보겠다”면서 “저희도 열심히 노력하겠지만 외부에서도 새로운 시도와 협력에 대해 격려해주고 응원해주면 더 잘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긍정적인 시선을 당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