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수련병원협의회·대전협 간담회 개최
정부도 복귀 여건 마련·현장 점검 본격화
의대생 집단복귀 선언에 이어 전공의 복귀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의료계에서 수련 재개를 위한 협의에 착수한 가운데 정부 역시 복귀 여건 마련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또 수련병원들과도 실무 조율이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현장 상황도 점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정부·의료계 등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의협),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전날 전공의 수련 재개와 수련환경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는 전공의와 수련병원이 공식적으로 복귀 문제를 함께 논의한 첫 회의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간담회에서 “현 의료사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의료계 대표들이 모였다”며 “수련환경 개선과 의료 미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도 “복귀에 앞서 수련환경 질 향상과 사법 리스크 완화가 필수”라며 실질적 여건 개선을 요구했다. 수련병원협의회 측도 전공의 수련 연속성을 보장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현재 정부는 전공의단체 및 의료계와 접촉을 이어가며 복귀 여건 마련을 준비하고 있다. 수련병원들과도 실무 조율이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현장 상황을 점검 중이다. 수련환경평가위원회 등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수련 인정 여부나 행정 공백 처리 기준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료계에서는 조속한 전공의 복귀 논의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의학교육과 수련이 더 이상 멈춰서는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전공의 복귀가 현실화될 경우 지난 1년 반 넘게 단절됐던 정부와 의료계 간 공식 대화도 다시 열릴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최근 의대생과 전공의 대표단을 차례로 접촉하며 협의 채널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다만 복귀 시점과 방식, 수련 인정 범위 등을 둘러싼 이견은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복귀 조건이나 행정처리 과정에서 앞서 의대생과 마찬가지로 일정 수준의 유예나 조정이 이뤄질 경우 또다시 ‘특혜 복귀’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전공의 복귀를 포함한 의료 정상화 방안 등 다양한 현안과 정책 추진 시 현장의 애로사항과 제안을 경청하겠다”며 “앞으로도 의료계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현장과 긴밀히 소통, 보건의료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