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가능성 열어두고 고민" 장동혁호 '남은 인사 조각' 향배는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사무총장과 정책위의장 인사를 단행한 데 이어 지명직 최고위원 자리 후보자군에 관심이 모인다. 아직까지 인사에 대한 호평이 대다수인 만큼, 중도를 공략할 수 있는 전략적 판단을 고심 중인 것으로 보여진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명직 최고위원 후보자로는 박민영 대변인과 장예찬 전 최고위원 등이 거론된다. 앞서 사무총장과 정책위의장에 정희용·김도읍 의원이 각각 내정되면서 중량감 있는 인사들이 주축이 됐기 때문에, 젊은 인사들이 기용될 것이라는 기대감이다. 다만 장 대표가 중수청(중도·수도권·청년)을 공략하기 위한 인사 시도를 이어가는 만큼, 아직까지 가능성을 재단하기는 어렵다.
박민영 대변인은 지난 2021년 11월에는 20대 대선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중앙선거대책본부 선거대책본부 청년보좌역을 맡았고, 2022년 국민의힘 대변인으로 발탁됐다. 이후 대통령실 행정관을 거친 뒤 12·3 비상계엄의 여파로 한동훈 지도부가 와해되고 들어선 권영세 비대위원장-권성동 원내대표 체제에서 미디어특별위원회 가짜뉴스대응단장으로 임명돼 활동, 올해 대변인으로 다시 임명됐다.
장예찬 전 최고위원은 음악인 등으로 활동하다 당시 윤석열 검찰총장의 대권 행보를 지지하며 그의 참모로 정치에 입문했다. 2022년 3월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소속으로 출마한 윤석열 후보를 지원했고,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자 집권여당이 된 국민의힘에서 경선에 출마, 청년최고위원에 당선됐다. 2024년 총선 국면에서는 공천 취소에 불복해 당을 탈당했다가 지난 5월 복당했다.
지명직 최고위원은 앞선 전당대회 국면에서 장 대표를 지지했던 극단 성향 유튜버 전한길 씨 등 강성 인사들이 거론돼 우려를 샀던 지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번 정책위의장·사무총장 인사가 당 내외에서 호평을 받으면서, 지명직 최고위원에도 중도층을 공략할 수 있는 혁신적 인사를 찾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장동혁 대표는 이날 원외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협의회 확대운영위원회의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좋은 분을 모시기 위해서 고민 중"이라며 "추천도 받고 있고, 어떤 분을 모시는 게 지도부가 좋은지 고민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피자집 흉기난동' 가맹본부 책임 공방 확산…본사 측 "인테리어 강요 없었다"
서울 관악구 내 한 피자 가게에서 칼부림 사건이 발생해 3명이 숨진 가운데 해당 피자 프랜차이즈 본사가 “갑질은 없었다”며 반박에 나섰다.
3일 경찰과 소방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57분께 40대 남성 김모씨가 서울 관악구 조원동 소재 한 프랜차이즈 피자가게에서 흉기를 휘둘러 30대, 40대 남성 2명, 30대 여성 1명이 다쳐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숨졌다.
피해자 중 1명은 프랜차이즈 본사 직원, 2명은 인테리어 업체 관계자로 파악됐다.
이에 일각에서는 A씨의 범행이 프랜차이즈 본사의 부당한 요구에서 비롯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피자이노베이션은 입장문을 통해 "본사는 2021년 10월 직영점 오픈 후 가맹사업을 한 이래로 단 한 번도, 어떤 점주에게도 리뉴얼을 강요한 적이 없다. 또한 인테리어를 강요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현대차 노조 7년 만에 파업…울산·아산·전주 공장 생산 차질
7년 만에 돌입한 현대자동차 노동조합(금속노조 현대차지부)의 파업이 울산, 아산, 전주 공장 생산라인을 멈춰 세웠다.
현대차는 노조의 부분 파업으로 인해 3일부터 오는 5일까지 울산 공장 등 전 사업장에서 생산을 중단한다고 공시했다. 이번 생산 중단은 단체교섭이 결렬됨에 따라 노조가 쟁의행위에 돌입하면서 결정된 것이다.
울산공장에서는 오전·오후조 조합원 2만3000여 명이 각각 2시간씩 조기 퇴근하며 파업에 동참했다. 아산과 전주 공장 역시 2시간씩 총 4시간 중단된다.
이번 파업으로 시간당 평균 375대를 생산하는 울산공장에서는 이날 1500대 이상의 생산 차질이 예상된다.
이번 파업으로 현대차 노사의 7년 연속 무쟁의 교섭 타결은 무산됐다. 노사는 2019년부터 코로나19 대유행 등 국내외 상황과 성과에 따른 보상 등을 바탕으로 지난해까지 파업 없이 단체교섭을 마무리해 왔다.
하지만 올해는 임금 인상 규모, 정년 연장, 통상임금 확대 등을 놓고 노사 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