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영 특검보 "최지현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 참고인 신분 소환조사 예정"
"이종섭 호주대사 임명 배경과 尹 지시사항, 논의 내용 등 전반 조사할 것"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이른바 '도피성 출국' 의혹과 관련해 당시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을 오는 5일 조사한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최지현 전 대통령실 인사기획관실 인사비서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며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배경과 윤 전 대통령의 지시 사항, 외교부, 법무부 등과 진행한 논의 내용 등 전반을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이 전 장관의 해외 도피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를 최 전 비서관을 상대로 확인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지난달 초 외교부와 법무부, 대통령기록관 등을 압수수색했다.
이 전 장관은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를 받으며 출국금지된 상태였다가 지난해 3월 4일 윤 전 대통령에 의해 전격 호주대사에 임명됐다. 법무부는 임명 사흘 뒤인 그달 7일 이 전 장관이 공수처에 출석해 조사받자마자 출금을 해제했다.
이 전 장관은 그달 10일 출국해 호주대사로 부임했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국내 여론이 급격히 악화하자 11일 만에 귀국했고, 임명으로부터 약 3주 만인 같은달 29일 전격 사임했다.
당시 이 전 장관은 방산협력 공관장회의에 참석해야 한다는 명분으로 귀국했는데, 특검팀은 당시 회의가 이 전 장관의 귀국을 위해 급조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런 의혹의 사실관계를 밝히기 위해 지난 3일부터 이틀간 주요국 대사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또 5일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의 주요 인물인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을 네 번째로 불러 피의자 조사를 할 계획이다.
아울러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 조사와 관련해서는 이번 주까지 피의자 및 참고인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정 특검보는 내주 임 전 사단장 기소 계획이 있는지 질문에 "다음 주에 관련자 조사가 필요하면 더 할 수 있어서 아직 그렇게 말씀드릴 단계는 아니다"라고 대답했다.
임 전 사단장에 대한 '개신교계 구명 로비' 의혹과 관련해 피의자로 전환된 인물은 없다고 정 특검보는 밝혔다.
한편,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은 이날 오전 9시 56분쯤 6차 참고인 조사를 위해 특검팀 사무실에 출석했다.
박 대령 법률대리인은 "조사에서 타임라인을 맞춰 가면서 여러 가지 증거들이 나오고, 박 대령과 20∼30년 동고동락했던 사람들의 거짓말이 하나씩 밝혀지고 있다"며 "개인적으로는 대령님이 그 부분에 서글프면서 참혹한 느낌을 가진 것 같다"고 했다.
이어 "하지만 그건 사적인 감정이고, 공적인 입장에선 거짓에 진실이 가려지지 않게 성실히 임할 것이며 거짓으로 감추려 했던 분들의 행동이나 언행이 밝혀질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지금이라도 진실을 밝히는 데 협조해주셨으면 좋겠다. 그렇게 해야 지금까지 쌓아온 과오에 대해 좀 씻어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