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국내 중·고등학생의 학업 성취도가 전반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어 과목에서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눈에 띄게 늘어나면서 교육당국의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2020∼202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에 따르면,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모두 국어·수학·영어 전 과목에서 '보통학력(3수준) 이상' 비율이 줄었다.
중3 학생의 경우 2020년 국어·수학·영어 과목에서 보통 이상 학력 비율이 각각 75.4%, 57.7%, 63.9%였지만 2024년에는 66.7%, 48.6%, 61.2%로 떨어졌다.
고2 역시 국어가 69.8%에서 54.2%로 15.6%포인트 급감했고, 수학(60.8%→57.2%), 영어(76.7%→72.4%)도 하락세를 보였다.
기초학력 미달(1수준) 비율을 보면 특히 국어에서만 뚜렷한 증가세가 확인됐다. 중3은 6.4%에서 10.1%로, 고2는 6.8%에서 9.3%로 각각 상승했다.
하지만 학력 저하 우려에도 불구하고 교육부의 기초학력 보장 예산은 올해 1319억원으로 전년보다 290억원 줄었다.
진선미 의원은 "국어에서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늘어난 것은 다른 과목 학습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기초학력 보장 제도를 보다 체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