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부, 국비 총 8300억원 지원
도심 내 집중호우로 차량이 침수된 모습. ⓒ데일리안 DB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집중 강우 때 하수도 용량 부족으로 인한 도시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대구광역시 두류동, 충남 서천군 장항읍 일원 등 상습침수지역 17곳을 ‘2025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신규 지정하고 30일 공고한다.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 제도는 관련법에 따라 2013년 도입했다. 집중 강우 시 하수 범람으로 인한 침수 피해가 상습적으로 발생하거나, 발생 우려가 있는 지역을 지정한다. 지자체가 침수 원인 해소를 위한 하수도 확충 사업을 조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국비를 지원한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3년부터 2024년까지 침수가 발생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매년 10~38곳, 총 210곳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지금까지 1조8164억원의 국고를 지원했다. 하수관경 확대, 하수저류시설 및 빗물펌프장 설치 등 하수도 확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도시침수 대응 예산 규모는 2023년(1595억원) 대비 2.5배 이상(4055억원)으로 늘었다.
올해는 23개 지자체에서 32개 지역에서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기후부와 한국환경공단에서 서류검토 및 현장조사 후 선정위원회에서 침수피해 정도와 시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17곳을 선정했다.
기후부는 올해 지정한 17곳에 대해 총 8300억원을 투입해 하수관로 84㎞ 개량, 펌프장 22개 신·증설, 빗물받이 설치 등 하수도시설을 확충한다.
한편, 기후부에서는 집중강우 시 맨홀뚜껑 이탈로 인한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 내년 말까지 전국 침수 우려 지역에 위치한 전체 맨홀(20만7000개)에 추락방지 시설 설치 예산 1104억원을 편성했다.
조희송 기후에너지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국지성 집중강우가 자주 발생해 도시침수 예방을 위한 하수도 정비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 확대와 지속적인 하수도 확충 사업 추진으로 집중강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