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전경. ⓒ데일리안DB
질병관리청이 국내 최초로 청소년 건강행태를 장기간 추적 조사한 원시자료를 공개했다. 흡연과 음주, 신체활동, 식습관 등 청소년의 생활습관 변화 요인을 연구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전망이다.
질병청은 29일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의 ‘청소년건강패널조사 원시자료’를 누리집을 통해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자료는 2019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6학년 5051명을 10년간 추적 조사하는 패널조사의 중간 결과다.
조사 결과, 청소년의 담배제품 사용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증가했다. 궐련의 현재 사용률은 초등 6학년 남학생 0.02%에서 고등 1학년 2.12%로 늘었고 여학생도 1.19%로 증가했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률은 남학생 1.19%, 여학생 0.94%였으며, 궐련형 전자담배도 남학생 0.65%, 여학생 0.24%로 집계됐다.
평생음주경험률 역시 초등 6학년 36.4%에서 고등 1학년 55.0%로 상승했다. 현재음주율은 같은 기간 0.7%에서 5.3%로 높아졌다.
가정·학교·지역사회의 건강 관련 환경 요인도 전반적으로 악화됐다. 부모와 매일 식사하는 비율은 2019년 66.3%에서 2023년 27.4%로 급감했고 건강 관련 대화를 자주 한다는 비율도 58.4%에서 39.5%로 떨어졌다.
학교 내 흡연예방교육 실시 비율은 95.9%에서 71.0%, 음주예방교육은 75.4%에서 45.7%로 감소했다. 미디어를 통한 흡연 장면 노출은 39.2%에서 58.0%, 음주 장면 노출은 56.1%에서 70.5%로 증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