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민생안정지원금 효과분석 결과’를 주제로 정책브리핑을 열고 민생안정지원금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홍명희 광명시 경제문화국장은 “민생안정지원금은 시민의 일상 회복과 지역경제의 체질 개선을 이끈 광명형 민생정책의 대표”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 회복과 지역상권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시는 명절을 앞둔 지난 1월 어려운 가계와 경기 침체로 얼어붙은 민생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전 시민에게 1인당 10만 원의 민생안정지원금을 광명사랑화폐로 지급했다.
시는 시민 93.4%가 신청해 260억원을 지급했다. 사용 기한인 4월 30일까지 지급액의 98.9%가 사용돼 257억 원이 지역 내 소비로 이어졌다.
민생안정지원금이 지역화폐인 ‘광명사랑화폐’로 지급되면서 지역 내 소비가 자연스럽게 순환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지난 6월 시민 3000여명과 소상공인 1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시민의 64.6%가 지원금 지급 이후 광명사랑화폐 사용이 늘었다고 응답했다.
실제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지역화폐 신청률은 54.3%, 2차는 55.7%로, 경기도 1위를 기록했다. 이는 경기도 평균 신청률(각각 22.2%, 23%)보다 약 2.4배 높은 수치다.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이중차분(DID) 분석에서는 민생안정지원금 지급시기의 식품·외식 업종의 일평균 거래 건수가 직전 분기(2024년10울19일~2025년1월23일) 대비 3만3000건 증가했고, 일매출은 2억3000만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차분(DID) 분석이란 정책 시행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고, 지원을 받지 않은 집단과의 차이를 함께 분석해 정책의 실제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방식을 말한다.
음식점·식료품점·편의점 등 생활밀접 업종의 매출이 눈에 띄게 상승하고 미용·의류·문화 분야에서도 고른 성장세를 보이며, 골목상권 전반에 활기가 돌기 시작한 것이다.
아울러 시민의 84.6%가 정책에 만족했고, 83.6%가 가계경제에 도움이 됐으며, 85%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응답했다.
소상공인의 78.8%도 정책에 만족했고, 81.6%는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며 “지원금 지급 이후 소비자들이 한결 여유롭게 구매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출이 늘면서 납품업체에도 발주를 확대할 수 있었다” 등 체감 효과를 구체적으로 드러냈다.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분석 결과, 257억원의 지원금이 2044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의 미래는 시민이 중심이 되는 지속가능한 경제도시”라며 “시민과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민생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