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연구·산업 융합한 차세대 암 치료 혁신 선도”
고려대의료원이 산하 병원 및 동탄 제4병원에 양성자치료 시스템을 도입하며 차세대 정밀 암 치료 혁신을 본격화한다. 고대의료원 의료진이 차세대 양성자 가속기 도입을 통한 지속 성장형 입자 치료시스템 구축 관련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고려대학교의료원
고려대학교의료원은 국내 암 치료의 전환점을 마련할 ‘입자치료 거점 구축’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고려대의료원은 현존 최고 사양의 양성자치료기를 도입, 난치암 정복을 목표로 환자 맞춤형 정밀도를 극대화한 첨단 입자치료 시대를 열어간다는 계획이다.
입자치료는 ‘브래그 피크’라는 고유의 선량 분포 특성을 이용해 고에너지를 종양 조직에 선택적으로 집중해 암세포를 파괴하는 방식이다. 치료에 사용된 에너지는 발산 후 소실돼 주변 정상조직 손상을 최소화해 차세대 정밀의료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고려대의료원은 안암·구로·안산병원 및 추진 중인 동탄 제4병원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진료체계를 기반으로, 입자치료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 중심의 정밀 치료 시스템을 완성해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인공지능(AI) 기반 치료계획 시스템 개발 ▲암종 치료 프로토콜 확립 ▲임상 데이터 기반 치료 알고리즘 고도화 등을 추진해 입자치료 기술의 정밀도와 안전성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윤을식 고려대 의무부총장은 “입자치료 거점 구축은 고려대의료원이 지향하는 미래의학 혁신의 핵심 과제”라며 “양성자치료를 중심으로 한 첨단 정밀의료를 통해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고대병원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암 치료 중심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