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법 허용 마지막 연장…오는 12월28일까지 수사
尹 부부, 불출석 사유서 제출…내달 초 재소환 전망
특검팀 "공소제기 여부 결정 위해 추가 조사 필요"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 ⓒ연합뉴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재명 대통령의 수사 기간 연장 재가로 내달 28일까지 수사를 이어갈 수 있게 됐다. 특검팀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 대해 조만간 소환 일정을 재통보할 계획이다.
19일 법조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김건희특검이 이 대통령에게 김건희특검법 제9조 제4항에 따라 수사 기간 30일 연장을 요청했고, 이 대통령은 수사 기간 연장 요청을 검토해 승인했다"며 밝혔다.
이로써 특검팀은 오는 12월28일까지 수사를 이어가게 됐다. 이는 특검법이 허용한 마지막 연장이다. 지난 7월2일 수사를 개시한 김건희 특검팀은 90일의 기본 수사 기간을 소진한 후 30일씩 두 차례 기한을 늘렸었다.
특검팀은 수사 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내달 초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실제로 특검팀은 수사 기간 연장 신청 사유로 윤 전 대통령 부부에 대한 조사 필요성을 들었다.
김형근 특검보는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수사 중인 사건이 완료되지 않은 점, 수사 기간 내 출석 요구한 김 여사와 윤 전 대통령이 다음 주로 예정된 일자에 출석하지 않을 것이 예상되고 공소제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들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당초 특검팀은 오는 24일과 26일 각각 김 여사와 윤 전 대통령을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 부부의 변호인단이 전날 우편으로 불출석 사유서를 특검팀에 제출하며 불발됐다.
윤 전 대통령은 재판 일정을, 김 여사는 건강 악화를 각각 불출석 사유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다음 달 초에는 출석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소환 일정을 다시 정해 통보할 방침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연합뉴스
특검팀은 김 여사를 상대로 '반 클리프 앤 아펠 목걸이 수수 의혹' 등 여러 사건에 걸친 '금품수수 의혹'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의혹에 연루된 관계자들을 잇따라 소환 조사하는 등 혐의 다지기에 주력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도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의 로봇개 납품 사업 수주 과정에서 김 여사가 고가 명품 시계를 수수했단 의혹과 관련해 김성훈 전 대통령실 경호처 차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은 김 전 차장을 상대로 경호처가 2022년 9월 로봇개 판매사 드론돔과 1800만원 상당의 로봇개 시범운영 계약을 맺은 경위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호처는 윤 전 대통령이 당선된 후인 2022년 3월 말께 로봇개 수입업체인 고스트로보틱스가 주관한 비공개 시연회를 열었다. 이후 고스트로보틱스는 같은 해 5월 김 여사에 대한 금품 의혹이 제기된 서성빈 대표의 회사 드론돔과 총판계약을 맺었고, 경호처는 9월 수의 계약 형태로 드론돔에게 시범운영을 맡겼다.
이 시기 김 여사가 서 대표로부터 사업상 편의를 제공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시가 5000만여원 상당의 바쉐론 콘스탄틴 시계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검팀은 서 대표가 김 여사의 도움으로 시범운영 계약을 따낸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특검팀은 지난 8월 초와 이달 17일 서 대표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고, 오는 20일 추가 소환할 방침이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해선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를 통한 공천개입 의혹 관련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와 여론조사 무상 수수 의혹 관련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에 대해 조사할 방침이다.
윤 전 대통령은 그간 김건희 특검팀 소환에 단 한 차례도 응하지 않았다. 특검팀은 지난 8월 체포 영장을 발부 받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구인을 시도했으나 윤 전 대통령이 완강히 거부하며 불발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