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K-전통주까지 인기인데…정체된 전통주 생산력 [기자수첩-정책경제]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입력 2025.11.21 07:00  수정 2025.11.21 07:00

우리쌀·우리술 K-라이스페스타에서 한 관람객이 우리쌀로 만든 전통주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한국 전통주에 대한 해외 수요가 조금씩 늘고 있지만, 국내 공급은 뒷받침 되지 않는 모양새다. K-푸드 인기와 함께 K-전통주에 대한 관심이 해외에서 늘고 있지만 많지 않은 종류로 인해 판매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해외에서 전통주를 판매하는 업계 관계자는 “한식을 좋아하는 외국인들이 K-전통주에 대한 관심을 표할 때가 있다”며 “하지만 실제로 수입이 가능한 전통주 물량 자체가 많지 않아, 소개할 수 있는 품목이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국내 양조장도 비슷한 입장이다. 수출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지만 생산량 등 문제로 어렵다는 것이다.


국내 한 양조장 관계자는 “해외에서 연락이 오는데, 안정적으로 납품할 만큼 생산량을 키우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전통주 제조 기반이 대부분 소규모라는 점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인력부터 설비·숙성·병입 시설까지 많은 과정을 스스로 감당해야 하는 구조다. 더욱이 생산량을 넓히기 위한 설비 투자는 상당한 비용이 든다.


여기에 가격 기반의 세제 구조가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생산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결정을 쉽게 내리기 어렵다. 생산량을 늘리면 세금 부담도 함께 커지는 구조이다 보니, 수출용 물량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 확대는 쉽지 않다.


그 결과 해외 유통망이 관심을 보이더라도, 안정적 공급을 보장하기 어려워 수출이 자연스럽게 제약된다.


이 같은 한계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전통주 세제 개선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지난해 정부는 전통주 생산 확대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주세 감면 기준을 넓히겠다고 밝혔다. 감면 대상 생산량 범위를 확대하고, 기존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던 감면 구조를 보완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됐다.


다만 이러한 변화가 전통주 산업 전체를 본격적으로 확장시키는 동력으로 이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책 방향과 일부 제도 정비는 있었지만, 업계가 체감할 만큼 생산 기반을 크게 넓히기 위한 전면적 개편이 이루어진 단계까지는 아니기 때문이다. 논의가 한 차례 주목을 받았지만, 지금은 논의 속도가 다소 느려진 모습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전통주의 매력과 가능성에 대한 관심은 커지고 있지만, 이를 수출 시장에서 실제 성과로 이어가기 위해 필요한 기반은 여전히 부족하다. 생산을 넓히고 수출용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면 설비와 인력,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정책적 지원이 더 필요하다.


K-푸드가 세계적으로 확장하는 지금은 전통주에도 드문 기회다. 정책 방향이 한 차례 잡힌 만큼, 생산 기반을 넓히고 수출 규모를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논의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기자수첩-정책경제'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