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만족도 2년 연속 '꼴찌'
지난해보다 부정적 답변 줄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
직접 선택한 개인연금·퇴직연금과 비교 어려워
보험소비자의 연금제도 만족도 조사 결과 국민연금이 2년 연속 꼴찌를 차지했다.
28일 보험연구원의 지난 2014년부터 2년간 소비자 설문조사결과를 보면 공적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 국민연금 등 4개 연금에 대한 만족도를 5점 만점으로 묻는 말에 국민연금이 2014년 3.35점, 2015년 3.53점으로 모두 최하위에 그쳤다.
보험연구원은 매년 4∼6월께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200명 대상 보험산업 관련 이슈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이고 있다. 설문조사는 해당 연금 가입자 대상이다.
2년 연속 1위는 모두 공무원, 교직원, 군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공적연금이다. 올해 공적연금에 대한 만족도는 4.05점이다. 지난 2014년(4.24점)보다 다소 낮아졌다. 하지만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14년엔 개인연금(3.69점), 퇴직연금(3.67점)이 2, 3위를 차지했다. 올해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은 각각 3.69점을 받았다.
국민연금을 만족한다는 응답은 지난 2014년 42.2%에서 올해 52.6%로 뛰었다. 반면 불만족한다는 답은 11.1%에서 4.5%로 줄었다. 다만 퇴직연금(0.7%), 개인연금(1.0%)과 비교하면 크게 떨어지는 수치다.
연령별로 보면 40대 불만이 가장 컸다. 40대 연령에서 국민연금에 불만족한다는 비중은 지난 2014년 14.8%, 2015년 5.7%로 전 연령대 통틀어 최고다.
직업별로는 2014년에는 화이트칼라(사무직)의 불만족 응답률(13.6%)이, 올해 조사에선 은퇴자(6.1%)가 가장 높았다.
강성호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의 기대감이 커지면서 국민연금에 대한 기대치가 올라가 상대적으로 다른 연금에 비해 불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퇴직연금, 개인연금은 여러 선택지 중 자신이 선택했다는 점 때문에 만족도가 높은 측면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