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은 7일 오픈프라이머리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이미 확정이 됐기 때문에 그것은(도입은) 주장할 상황도 아니고 가치도 없는 내용"고 말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이 7일 "오픈프라이머리는 불가능하다고 이미 확정이 됐기 때문에 그것은(도입은) 주장할 상황도 아니고 가치도 없는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현행 당헌당규에 있는 공천규칙을 가지고도 결국은 오픈프라이머리의 정신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상향식 공천제도를 좀 더 완벽하게 구성해서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까지 청와대 정무특보직을 수행했던 김 의원은 전날 저녁 최고위원들이 모여 합의한 공천룰기구 위원장 황진하 사무총장 인선안에 대해서도 "최고위에서 (그렇게) 결정을 했다면 합당한 결정"이라며 생각을 밝혔다.
남은 과제로 △국민여론조사의 세부내용 △신인·여성 등에 대한 가산점 부여방식 등을 꼽은 김 의원은 "이런 여러 가지에 대해 세부적으로 논의하는 절차적인 위원회가 필요하고 그것이 확정되면 곧바로 공천절차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한 중요인사 '험지출마론'에 대해서도 "상향식 공천이라는 것은 그런 당의 전략적 판단은 배제하고 순수하게 유권자들의 선택에만 의존하겠다는 것"이라며 "상향식 공천제도를 채택하면서 동시에 무슨 험지 출마니 또는 용퇴론이니, 그렇게 주장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용퇴론'에 대해서도 "과거에는 일률적으로 또는 어떤 기준과 원칙을 정해 참신한 신진들에게 기회를 주고자 중진들이 용퇴하자는 의미였는데, 상향식 공천제도에 의하면 그러한 전략은 이제 선택가능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당으로 복귀할 경우 친박·비박 간의 갈등이 격화되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실제 그럴 가능성은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 "당내에서 생각만큼 갈등의 소지가 크지않기 때문에 최 부총리가 복귀해서 당무에 참여한다고 하더라도 비교적 합리적인 선택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