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박현선 세종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63.5%는 1일 공부시간이 과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10명중 6명은 학자들이 권장하는 시간 이상으로 공부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박현선 세종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는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이 펴낸 '제11차 아동복지포럼' 자료집에 실은 논문에서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63.5%는 교육학자들이 권장하는 1일 공부시간을 넘겨 '과다'하게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생은 41.0%가 ‘과다’ 33.5%는 '과소' 25.5%만이 '적정'한 학습시간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생은 '과다' 48.4%에 이어 ‘적정' 32.3%, '과소' 19.3%를 보였다.
권장 공부시간은 국외 교육학자들이 권장하는 학습시간 기준에 국내 사교육환경을 반영한 것으로 초등학생 30∼120분, 중학생 60∼150분, 고등학생 90∼180분 등이다.
이에 박 교수는 "지나치게 많은 숙제와 학습은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스트레스와 건강 문제 등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학생들의 수면·운동부족 실태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8시간19분, 중학생은 7시간35분, 고교생은 6시간27분으로 조사됐다. 이는 미국수면재단과 미국심장폐혈액연구소의 권장 수면시간인 초등생 9∼12시간, 중고생 8∼10시간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또 세계보건기구는 모든 연령에 하루 평균 1시간 이상 운동을 권장하고 있지만, 초등생의 63.1%, 중학생의 76.5%, 고교생의 82.3%는 이 기준을 지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매체를 통해 "과도한 학업과 입시준비로 적정수준의 수면·운동을 하지 못하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아동 권리 보장을 위한 사회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