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국가교육회의에 “수능 전과목 절대평가 여부 논의해달라”
학생부종합전형과 수능전형 간 적정 비율
수시·정시 통합여부와 수능 평가방법 핵심
학생부종합전형과 수능전형 간 적정 비율
수시·정시 통합여부와 수능 평가방법 핵심
교육부가 올 8월 교육개혁 종합방안 발표를 앞두고 국가교육회의에 대학입시제도 선발 방법과 선발 시기, 수능 평가 방법 등을 숙의·공론화해 달라고 제시했다.
교육부는 11일 ‘대학입시제도 국가교육회의 이송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교육부는 8월 수능 개편을 유예하면서, 수능을 포함한 대학입시제도 전반을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에서 충분한 숙의와 공론화를 거쳐 결정하기로 한 바 있다.
그동안 교육부는 정책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위원회의 입시제도혁신분과를 중심으로 정책연구를 실시했다. 4차에 걸친 대입정책포럼, 전문가 자문 그리고 온-교육을 통해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이를 토대로 국가교육회의 이송안을 마련했다.
이송안은 ▲객관적 시험을 통한 수능전형과 고교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학생부종합전형 간의 적정 비율 ▲대학입시의 단순화 및 고교 3학년 2학기 수업의 정상화를 위한 수시·정시 통합 여부 ▲절대평가 전환, 상대평가 유지, 수능 원점수제 등 3가지가 핵심이다.
교육부는 이 사항을 국가교육회의에서 핵심적으로 숙의·공론화하고 그 결과를 제안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자기소개서 및 교사추천서 폐지 등 전형서류 개선, 대입 평가기준 및 선발결과 공개 등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제고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수능 과목 구조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 대학별고사, 수능 EBS 연계율 등 기타 사안에 있어서도 필요한 경우 결정하거나 의견을 제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학생의 창의적 사고력과 표현력을 평가하기 위한 논·서술형 수능 도입과 고교학점제 기반의 성취평가제 및 학생부 전형 등 ‘중‧장기 대학입시 방향’도 함께 공론화하도록 요청했다.
향후 국가교육회의가 숙의·공론화를 거쳐 대입제도 개편안을 제안하면, 교육부는 이를 반영하고 고교 체제 개편, 고교학점제 등 교육 분야 국정과제를 망라해 ‘(가칭)교육개혁 종합방안’을 8월말까지 발표할 계획이다.
김상곤 부총리는 이날 발표에서 “단순하고 공정한 학생 중심의 입시제도를 위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지고, 이를 지지해 주시면 우리 교육은 멀리 내다보며 한발 한발 힘차게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 교육의 정상화와 미래 가치를 실현하는 대입제도 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뜻을 모아주시기를 다시 한번 간곡하게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