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속 과감한 교육혁신 필요성 공감해 막중한 책임감 갖고 매사 임했다 자부"
"미래 위해 시급한 교육개혁 과제들 추진하려 노력…대학으로 돌아가 인재 양성 전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년 9개월간의 장관직을 마무리하고 29일 퇴임했다.
교육부는 이날 기자단 공지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이 이 장관의 사임을 재가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퇴임사에서 "5년 단임제 정부에서 많은 일을 해내기 힘들다. 하물며 3년 동안 변화를 일구어 내기란 쉽지 않았다"며 "저출생, 지역소멸, 디지털 대전환의 위기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과감한 교육혁신의 필요성을 공감해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매사에 임했다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사회적 위기를 절감하고 교육이 해야 할 일들을 선제적으로 고민하고 실행하며 쉼 없이 달려왔다"며 "그 결과 우리 교육이 새롭게 방향을 다잡고 다시금 항해를 시작했다고 평가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이념이나 정파와 무관하게 우리 아이들과 국가의 미래를 위해 시급한 교육개혁 과제들을 추진하려 노력했다"며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한 달여간 무거운 책임을 짊어지기도 했다. 비상 상황 속에서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록 매 순간 최선을 다했지만 AIDT(AI 디지털교과서)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 의료 개혁, 대입제도 개편, 사교육비 경감, 학생 정서 건강 등 의미 있는 변화들이 현장에 좀 더 깊이 뿌리내리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오롯이 저의 부족한 리더십 때문"이라고 했다.
이 장관은 "남은 과제들은 교육부 동료 여러분께서 현장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협력하면서 해결해 주실 것으로 믿는다"며 "저는 이제 대학으로 돌아가 연구와 차세대 인재 양성에 전념하겠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이던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 장관을 역임한 이 장관은 윤석열 정부에서 다시 한번 교육부 장관으로 발탁돼 2022년 11월7일 취임했다.
이 장관은 AI(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의대 정원 증원, 유보통합, 늘봄학교, 지역혁신중심대학지원체계(RISE) 관련 정책을 추진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과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의 사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사의가 이어지면서 지난 5월2일부터 6월4일까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