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전공의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전공의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을 본격 가동한다. 복지부는 11일 총 60개 수련병원을 선정해 9월부터 지원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수도권 28곳, 비수도권 32곳이 포함됐다. 상급종합병원이 35곳으로 전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번 사업은 인턴과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흉부외과·신경과·신경외과 등 8개 필수과목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그동안 수련환경 악화와 전공의 이탈이 반복되면서 필수과 인력난이 심화됐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선정된 병원은 전공의 교육을 총괄하는 책임지도전문의와 개별 교육·면담을 담당하는 교육전담지도전문의를 지정해야 한다. 인턴은 전담 지도전문의 아래에서 임상 술기와 환자 진료 적용 능력을 체계적으로 배우게 된다. 기존에는 담당 전문의가 명확하지 않거나 병원마다 운영 기준이 달라 교육의 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지원 범위는 지도전문의 수당, 전공의 교육운영 비용(원내 교육·사례회의·워크숍 등), 수련시설 개선비다. 특히 비수도권 병원에는 전공의 학습실·휴게실 개보수, 술기 실습 기자재와 발표용 집기 등 기반시설 확충이 집중 지원된다.
수련생 규모에 따라 수도권은 전공의 10인 이하 병원에 최대 3000만원, 300인 초과 병원에 최대 3억원까지, 비수도권은 5인 이하 병원에 3000만원, 150인 초과 병원에 3억원까지 차등 지원된다.
이번에 선정된 60개 병원 가운데 27곳은 지도전문의 지원·교육운영·시설개선을 모두 포함한 풀 패키지 지원을 받는다. 나머지 25곳은 지도전문의 지원과 교육운영만, 8곳은 시설 개선만 지원 대상이다.
복지부는 전공의 규모 회복 추세를 반영해 추가 신청을 허용하기로 했다. 올해 10월까지 접수하면 추가 참여 병원을 선정해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