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전북서 호남발전특위 첫 회의
"이제는 가시적인 성과 보여줄 때"
"전주하계올림픽 유치, RE100 등 협력"
기후에너지부 호남 유치 무산은 미언급
16일 전북 전주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정청래 대표가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전북에서 호남발전특별위원회 첫 회의를 열었다. 정청래 대표 일정상 이번 주 광주에서 회의를 진행해도 되지만 전북을 첫 번째 회의 지역으로 택한 건 전북이 광주·전남보다 상대적으로 소외돼온 사실을 의식하고 당심을 달래기 위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민주당은 16일 오전 전북 전주 민주당 전북도당에서 호남발전특위 제1차 전체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지난 21일 출범 후 약 한 달 만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정청래 대표는 이번 특위에서 반드시 가시적 성과를 내겠다고 약속했다. 정 대표는 "다들 '호남을 발전시키겠다'고 지금까지 말을 많이 해 왔다"며 "이제는 그것이 말로 그치는 게 아니라 실천과 행동, 성과로 호남인들에게 가시적으로 보여줄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따라서 호남특위는 만들어진 성과 없이 끝나고 흩어지는 특위가 아니라 실제로 성과를 내서 열매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나부터 정말 열심히 뛰겠다"고 덧붙였다.
호남 발전 방안으로는 국립 의대, 에너지 고속도로, 재생에너지 산업기반 육성 등을 거론했다. 정 대표는 "호남에서 여러 가지 발전 방향을 말씀하시는데 호남의 국립 의대 문제, 이재명 정부가 지금 가열차게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고속도로, 재생에너지 산업기반 육성 등 호남에 맞는 적절한 발전 요소들을 채워 넣는 것이 특위의 일"이라고 했다.
민주당 최고위원인 서삼석 호남발전특위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강력한 실천력을 바탕으로 호남의 대변혁을 시작하는 첫걸음을 떼는 순간"이라며 "나를 비롯한 57명의 특위 위원들은 스케치를 잘해서 대표가 물감을 칠하고 대통령께서 액자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오는 18일 광주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그러나 전북 예산정책협의회가 열린 이날 전북에서 호남발전특위 첫 회의를 진행한 이유는 '전북 홀대론' 해소를 염두에 두고 당심 달래기에 나선 것이란 해석이 제기된다.
실제로 정 대표도 이날 호남발전특위 회의 직후 열린 전북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이재명 대통령께서 전북특별자치도에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계신다"며 "'3중 소외'라고 많이 말씀하시는데 나도 전북도민들의 그런 상실감에 대해 깊이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 대표는 "이재명 정부는 앞으로 전북특별자치도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3중 소외는 대한민국 안에서 호남, 또 호남 안에서 광주·전남에 비해 전북이 소외를 받아온 현실을 뜻한다.
전북 현안에 대한 예산 심사 등 정책적 지원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했다. 정 대표는 "내년도 전북 예산은 총 9조4585억원으로 지금까지 정부 예산 편성으로는 역대 최대"라며 "전북에서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2030년 전주하계올림픽이 실현될 수 있도록 민주당에서도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RE100(재생에너지 100%) 산지 조성 등도 국정과제에 포함돼 있어서 이 부분도 관심을 가지고 계속 챙기겠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호남발전특위의 약속이 공수표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최근 기후에너지부 호남 유치 무산에 대한 공개 발언을 하지 않는 등 지역 현안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앞서 정청래와 박찬대는 당대표 선거 당시 기후에너지부 호남 유치를 약속했다. 그러나 정부가 신설 대신 환경부를 확대 개편하기로 하면서 공약이 불발됐고, 민주당은 그때부터 이날 호남발전특위 첫 회의까지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민주당이 오는 18일 광주에서 예산정책협의회 개최를 예정 중인 가운데 호남발전특위 전체회의는 광주에서 추가로 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호남발전특위의 지역별특위인 광주특위는 회의를 진행할 가능성도 있다. 전남 예산정책협의회는 지난달 20일 서울 여의도에서 진행한 바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