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역, 회현역, 월드컵경기장역에 러닝 편의 및 여가문화 공간 조성
개인 수준과 일상에 맞춰 참여할 수 있는 맞춤형 러닝 프로그램 운영
월드컵경기장역(6호선) 러너지원공간 모습.ⓒ서울시 제공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광화문역(5호선)·회현역(4호선)·월드컵경기장역(6호선)에 러닝 편의 및 여가문화 공간 '러너지원공간(Runner's Base)'을 조성했다고 22일 밝혔다.
러너지원공간은 빈 지하철 역사 내 공간에 운동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남녀 공간을 구분해 탈의실·보관함·파우더룸 등 운동 전후 시민들에게 필요한 장소로 구성됐다.
또 러너들의 의견을 반영해 헤어밴드·양말·무릎보호대·샤워티슈·파스·마사지 오일 등 운동 전후 필요한 물품을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러닝용품 자동판매기도 설치됐다.
네이버 QR 또는 카카오톡 인증으로 출입할 수 있으며, 별도 이용 요금은 없다. 개인 물품보관함은 서울교통공사 '또타라커' 시스템과 연계해 앱으로 손쉽게 잠금·해제할 수 있다.
시민 개인의 수준과 일상에 맞춰 참여할 수 있는 맞춤형 러닝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출퇴근 직장인이 많은 광화문역은 직장인을 위한 '모닝 러닝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한다. 출근 전 짧은 러닝과 올바른 자세·보강 운동을 익히며 활기찬 하루를 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주말 등에는 인왕산·북악산 트레일 러닝 프로그램도 마련할 예정이다.
남산으로 오르는 길목에 있는 회현역은 입문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남산을 배경으로 걷기·가벼운 달리기 등 기초 체력 강화를 시작으로 점차 거리를 늘려가는 단계적 프로그램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월드컵경기장역은 상암 월드컵공원을 중심으로 부상 없는 달리기를 위한 기초 러닝 스쿨과 경험자를 위한 장거리(15㎞ 이상) 러닝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한다. 슬로 러닝, 패밀리 러닝 등 가족 단위로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정규 프로그램 외에 분기별로 특별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겨울에는 러닝 부상 예방과 회복 중심의 실내 프로그램 위주로 시민 참여를 이어갈 방침이다.
러너지원공간의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이용 및 참여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https://runbase.co.kr)을 통해 회차별 15∼20명 내외 선착순 모집한다. 모든 과정은 전문 코치와 페이서의 지도 아래 진행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우리 일상에 가장 가까운 장소 중 한 곳인 지하철역에서 스스로 건강을 챙겨볼 수 있도록 다양한 시민 의견을 반영해 ‘러너지원공간’을 마련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지하철역뿐만 아니라 시민 생활 가까운 곳에 생활체육·여가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