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생물자원관, 미기록 곤충 45종 확인…절반 이상 열대·아열대성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입력 2025.11.19 12:00  수정 2025.11.19 12:00

제주·거제 등 남부 섬 중심 출현…기후변화 지표로 주목

18종 국가생물종목록 등재…섬 지역 생물상 변화 조사

섬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의 해외 분포도. ⓒ기후에너지환경부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를 통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섬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 분석 결과, 이들 미기록종 중 55.5%인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이었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와 인도 등 적도 인근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들이다. 제주도에서는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는 푸른줄까마귀왕나비 등 5종이 발견되는 등 우리나라 남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출현했다.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가 큰 온대 기후권에 속한다. 이 때문에 저위도 더운 지역에서 서식하는 생물이 국내에서 발견되는 현상은 기후변화를 보여주는 환경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섬 지역은 외래 생물 유입의 첫 관문이자 내륙 확산의 중간 경로라는 점에서 정밀 조사를 통한 생물상 변화 파악이 중요하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가거도·흑산도 등 원거리 섬과 제주도·울릉도 등 주요 섬에서 곤충·어류·지의류 등 열대·아열대 생물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분포 변화를 조사하고 있다.


연구진은 미기록종 45종 가운데 남방가는나방 등 18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했으며 나머지 종도 학술논문 발표 후 순차적으로 등재할 계획이다.


노승진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동물자원연구부장은 “섬에서 발견되는 미기록종 가운데 상당수가 열대 또는 아열대성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기후변화가 국내 생물다양성에 실제 변화를 일으키는 신호로, 지속적인 조사와 체계적 연구를 통해 영향 양상을 과학적으로 규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