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7% "내년 경제 더 어려워질 것" 체감 경기 활성화 필요
2010년 이후 낙관-비관 격차 줄고 '올해와 비슷할 것'이란 관망 의견 높아
박근혜 대통령이 31일 신년사를 통해 국민소득 4만불 시대를 여는 기반을 다져나갈 것이라고 공언했지만 오히려 국민들은 내년 경제에 대해 더 비관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지표로 표시되는 경제 성장보다 국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경제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날 한국갤럽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내년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 37%는 '어려워질 것', 15%는 '나아질 것', 48%는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와 비교해 '나아질 것'이란 응답은 6%포인트 감소, '어려워질 것'이란 응답은 13%포인트 증가해 다시 비관론이 우세해졌다.
지난 36년간 한국인의 국가 경제 전망 추이를 보면 조사를 최초로 실시한 1979년 이후 1980년대는 대체로 낙관론이 비관론을 크게 앞섰으나 1990년대는 낙관과 비관 우세가 교차 혼재했고 2000년대 들어서는 대체로 비관론이 우세했다.
특히 '내년 국가 경제가 더 나아질 것'이란 낙관론은 2000년 이후 매해 20% 내외에 머문 반면 '어려워질 것'이란 비관론은 최저 19%(2010년 전망)에서 최고 73%(2001년 전망)에 이를 정도로 진폭이 컸다.
아울러 2010년 이후로는 과거에 비해 낙관-비관 격차가 줄고 '내년도 올해와 비슷할 것'이란 관망 의견이 40~5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우리 경제가 긍정적 안정화 국면에 있음을 의미한다기보다는 계속되는 불황에 우리 국민이 더 이상 경제 성장에 대한 큰 기대나 희망을 갖지 못해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실제로 자동차, 스마트폰, 철강, 조선 등 우리 경제를 이끌어온 주력 산업 분야의 올해 실적은 기대치를 밑돈 가운데 특히 저유가, 일본 엔저, 중국 기업들의 추격이 더해져 내년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내년 우리나라 실업자 증감에 대해서는 48%가 '증가할 것', 11%는 '감소할 것', 41%는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작년 대비 비관론이 7%포인트 늘고, 낙관론이 5%포인트 줄었다.
이날 박 대통령은 "지난해 국민 여러분과 함께 어렵게 살려낸 경제회복의 불꽃을 크게 살려내고, 창의와 혁신에 기반을 둔 경제로 체질을 바꿔나갈 것"이라며 "국민소득 4만불 시대를 여는 기반을 다져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집권 3년차를 맞아 겨우 살려낸 경기회복의 불씨를 타오르게 하기 위해 정부와 국민은 물론 기업의 역량을 경제살리기에 총 결집시켜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민들의 체감경기가 상당히 비관적인 상황이라 체감경기 활성화가 우선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25일까지 전국의 만 19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원 인터뷰로 진했됐다.
표본추출은 2단계 층화 집락 지역 무작위 추출-표본 지점 내 성/연령별 할당 추출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2.5%포인트, 95% 신뢰수준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