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오늘(29일) 오전 검찰총장후보추천위…이성윤·김오수·양부남·구본선·조남관 유력


입력 2021.04.29 05:00 수정 2021.04.28 22:21        안덕관 기자 (adk@dailian.co.kr)

'윤석열 트라우마' 너무 큰 여권, 대선 1년 앞두고 결국 이성윤 선택할까?

이성윤 대신하면서도 이성윤 유임시킬 수 있는 김오수·양부남 카드도 급부상

정치권 일각 "문재인 정권, 이성윤 만큼 챙겨주지 못한 김오수에 늘 부채의식 있어 기대해 볼 수도"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검찰총장후보추천위(추천위)가 29일 오전 법무부 과천청사에서 회의를 열어 차기 검찰총장 후보 3~4명을 추려낼 예정이다. 기소 여부 등 온갖 관측과 전망에도 여전히 강력한 후보로 꼽히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을 비롯해 이 지검장을 대신할 것이라는 다른 주자들의 급부상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앞서 법무부는 국민 천거를 받은 인사 14명의 명단과 기초 자료를 추천위에 넘겼다. 이들 가운데 3명 정도가 추천위의 검토를 거쳐 박범계 법무부 장관에게 추천되고, 박 장관은 검찰총장에 가장 적합한 1명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제청한다.


이번 회의의 최대 관심사는 이 지검장이 최종 후보군에 포함될 지 여부다. 박 장관이 이미 차기 검찰총장 요건으로 "국정철학의 상관성"을 언급한 만큼 그동안 정치적 의혹 수사에서 정권과 코드를 맞춘 이 지검장은 무난하게 추천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윤석열 트라우마'가 너무 큰 여권으로서는 대선을 1년 앞둔 시점에서 그 어떤 비난과 희생을 감수하고서라도 결국 이성윤 지검장을 최종 선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 지검장이 친정부 인사로 완전히 낙인찍혀 검찰 내부의 신망을 잃고 있다는 점은 결정적인 흠결이다. 여기에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불법 출국금지 의혹 사건 수사가 중단되도록 외압을 가했다는 혐의로 검찰의 조사를 받고 기소될 위기에 처한 것도 이 지검장으로서는 엄청난 악재다. 법정에서 후배 검사들에게 신문을 받는 사상 초유의 검찰총장이 탄생할 수 있다는 법조계의 우려가 크다.


조남관 대검 차장검사.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검찰 안팎에서는 여러 후유증이 예상되는 이 지검장을 대신하면서도, 이 지검장을 유임시킬 수 있는 선배 기수가 총장에 임명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과 양부남 전 부산고검장 등이 급부상하고 있는 이유이다.


김 전 차관은 박상기·조국·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등과 차관으로 호흡을 맞춘 경험이 있다. 조국 전 장관이 가족 비리 의혹으로 임명 한 달여만인 2019년 10월 사퇴한 뒤에는 장관 직무대행 역할을 수행했고, 차기 법무부 장관 후보로도 언급됐다. 검찰을 떠난 뒤에는 감사원 감사위원으로 청와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으나 최재형 감사원장으로부터 친정권 성향을 지적받아 낙마하기도 했다.


그 뒤 유력한 금융감독원장 후보로도 거론됐지만 역시 하마평만 요란하다 고배를 마셨다. 그래서 정치권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 들어 누구보다 먼저 친정부 인사로 돌아선 것이 김오수 전 차관과 이성윤 지검장인데, 이 지검장이 현 정권의 모든 수혜를 받은 반면, 김 전 차관은 그렇지 못했다"며 "지금 정권은 김 전 차관에게 늘 부채의식이 있는 만큼 이번에는 기대해 볼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특수통으로 분류되는 양 전 고검장은 2018년 강원랜드 의혹 특별수사단장을 맡아 당시 자유한국당 권성동·염동열 의원을 채용 비리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특히 수사 과정에서 문무일 당시 검찰총장의 지시를 놓고 '수사 방해'라고 항명하면서 여권의 지지를 얻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와 함께 구본선 광주고검장과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조남관 대검 차장검사도 거론되고 있다. 구 고검장은 이 지검장과 연수원 동기로 지역색이나 정치색이 뚜렷하지 않고 친화력이 뛰어나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1월 추 전 장관이 단행한 첫 검찰 인사에서 이른바 ‘윤석열 라인’이 전멸된 가운데 고검장으로 승진해 대검 차장검사까지 지냈다.


조 차장검사는 이 지검장보다 1기수 후배이며 최근 검찰총장 후보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 윤석열 전 검찰총장 징계 국면에서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에게 반기를 들었고, 한명숙 전 국무총리 모해위증교사 의혹 사건을 '무혐의 종결‘하면서 검찰 내 신임이 가파르게 올라갔다는 평을 받고 있다. 다만, 이런 움직임을 여권에서는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덕관 기자 (ad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안덕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