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3년간 30세 미만 젊은 세대의 당뇨병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 청소년에서 발병 위험이 중산층보다 훨씬 높았다.
26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21년까지 30세 미만 2형 당뇨병 발생률이 인구 10만 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2.2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유병률은 73.3명에서 270.4명으로 약 4배 급증했다. 1형 당뇨병 발생률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유병률은 21.8명에서 46.4명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이상으로 췌장이 손상돼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2형 당뇨병은 비만과 대사증후군 등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거나 분비가 부족해 발생한다.
과거에는 소아·청소년에서 1형 당뇨병이 주로 나타났으나 최근에는 생활습관과 체중 증가 영향으로 2형 당뇨병이 청소년기와 젊은 층에서 빠르게 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성별 차이도 확인됐다. 1형 당뇨병은 여성에서 26% 많았고 2형 당뇨병은 남성에서 17%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1형 당뇨병이 영유아기(0~5세)에서, 2형 당뇨병은 청소년기(13~18세)에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소득수준에 따른 격차도 뚜렷했다. 저소득층은 중·고소득층보다 1형 당뇨병 위험이 2.9배, 2형 당뇨병은 3.7배 높았다. 특히 저소득층 14세 미만 아동의 경우 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이 5.1배, 여아는 4.2배 높았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소아와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며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의 건강 형평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