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비만율이 30% 가까이 증가하며, 남녀·연령별 격차도 커지고 있다.
10일 질병관리청이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만19세 이상 성인의 비만율은 34.4%로 조사됐다. 10년 전(26.3%)과 비교하면 약 30.8% 늘었다.
남성의 비만율은 41.4%로 여성(23.0%)보다 약 1.8배 높았다. 남성은 사회활동이 활발한 30대(53.1%)와 40대(50.3%)에서 비만율이 높았고 여성은 60대(26.6%)와 70대(27.9%)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전남과 제주가 각각 36.8%로 가장 높았고, 세종은 29.1%로 가장 낮았다. 전국 17개 시·도 모두 비만율이 상승했으며, 전남이 11.4%p 증가해 상승폭이 가장 컸다. 세종은 2.9%p로 가장 완만한 증가세를 기록했다.
시·군·구 단위로는 충북 단양군이 44.6%로 가장 높았고 경기 과천시가 22.1%로 가장 낮았다. 같은 지역 내에서도 최대 2배 차이가 나 지역별 건강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전체 성인의 54.9%가 스스로를 비만하다고 인식했다. 특히 비만인 집단에서는 남성 77.8%, 여성 89.8%가 본인이 비만이라고 답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한국의 비만율(36.5%)은 평균(56.4%)보다 낮지만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질병청은 “서구화된 식습관과 생활습관 변화의 영향으로 비만율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맞춤형 건강관리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비만이 심혈관질환과 당뇨병뿐 아니라 대장암·간암·유방암 등 각종 암 발생 위험요인”이라며 “단기간 체중감량에 의존하기보다 식이조절과 꾸준한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