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오는 15일 광복절부터 표준시를 변경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우리 정부가 우려의 입장을 표명했다.
남북 간 표준시가 30분가량 차이가 나면 남북교류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고 남북 동질성 회복도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번에 북한이 남북 공통으로 사용하던 표준시를 자체적으로 변경해서 남북 간 30분의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면서 “당면한 문제는 개성공단 출입경이라든지 남북교류 등에 약간의 지장이 초래될 것 같다”고 우려의 입장을 표명했다.
정 대변인은 “장기적으로 볼 때는 남북통합, 표준통합 그리고 남북동질성 회복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북측이 표준시 변경과 관련 우리 측에 알려온 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 대변인은 “시간을 바꾸는 문제는 금융, 항공 등 여러 가지 경우에 있어서 부대비용과 추가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면서 “이외에도 여러 가지 기회비용을 생각하는 측면에서는 (북한의) 손해가 좀 있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7일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우리나라 표준시를 빼앗았다”면서 동경 127°30‘을 기준으로 하는 시간을 표준시간으로 정하고 평양시간으로 명명했다.
통신은 “평양시간은 8월 15일부터 적용한다. 이는 지난 5일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른 것”이라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과 해당 기관들은 이 정령을 집행하기 위해 실무적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