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간 4차례 산업계 간담회 개최
기후테크 중심 신성장동력·법제화 추진
기후부 전경. ⓒ데일리안DB
기후에너지환경부는 11월 10일부터 3주간 4회에 걸쳐 서울 서대문구 진양빌딩에서 탄소중립산업 육성과 산업계 탈탄소 전환 지원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간담회는 핵심 국정과제인 ‘산업의 탄소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위기 대응 기술을 포괄하는 기후테크(Climate Technology)를 포함해 탄소중립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산업계 전환 지원 방안을 논의한다.
현재 유럽연합과 미국 등 주요국은 탄소중립산업 육성을 위한 별도 법률을 제정해 추진 중이다. 미국은 2022년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유럽연합은 2024년 탄소중립산업법(NZIA)을 시행했다. 우리나라도 관련 법안이 발의되며 탄소중립산업이 새로운 성장축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부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탄소중립산업 육성과 지원을 위한 제도 신설과 개편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기후·환경 분야뿐 아니라 에너지 및 다배출 업종까지 포함해 산업계 전반의 참여를 확대할 방침이다.
간담회에는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숙명여대, 부경대, 사단법인 넥스트, IBK기업은행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참석자들은 해외 주요국의 탄소중립산업 정책과 우리나라의 제도 방향을 함께 논의한다.
재생에너지, 전기차, 배터리, 수소 등 온실가스 저감 산업과 철강, 정유, 석유화학, 반도체 등 탈탄소 전환이 시급한 업종에서는 현장 중심의 지원정책을 제안하고, 기후테크 분야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도 참여해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부는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종합해 국회와 협의 후 ‘탄소중립산업법안’을 구체화하고, 이를 통해 산업계의 탄소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서영태 기후부 녹색전환정책관은 “기후·에너지 정책 총괄부처로서 산업계 탈탄소 전환과 탄소중립산업 육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관계부처와 협력해 기후테크 등 신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와 규제 개선, 공공·민간 수요 창출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