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표·쉼표' 공식용어 인정…사용자 편의·활용성 높여
한글맞춤법 문장 부호 개정 소식이 알려져 눈길을 끌고 있다.
27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문장 부호’ 용법을 보완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글맞춤법’ 일부 개정안이 고시됐다. 시행은 2015년 1월 1일부터다.
이번 개정은 글쓰기 환경이 컴퓨터와 인터넷 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하면서 그간 ‘문장 부호’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새 문장 부호는 이전 규정에 맞춰 쓰더라도 틀리지 않도록 하되 현실적인 쓰임에 맞도록 허용 규정을 대폭 확대했다"며 "개정으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하고 규범의 현실성을 높여 국민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번 한글맞춤법 개정안에서는 가로쓰기를 기준으로 문장 부호의 용법을 주로 정비했다. ‘.’과 ‘,’에 대해 ‘마침표’와 ‘쉼표’로 부를 수 있게 하고 기존에 부르던 ‘온점’과 ‘반점’ 이름도 쓸 수 있게 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 않게 된 고리점과 모점 등 세로쓰기용 부호 규정을 없앴으며, ‘< >’를 ′홑화살괄호′, ′≪ ≫′를 ′겹화살괄호′로 하는 등 일부 불분명한 용어를 통일했다.
줄임표는 여섯점 대신 ′…′, ′...′ 등 세점을 찍는 것도 가능케 했으며, 낫표(「」,『』)나 화살괄호 대신 따옴표(′ ′," ")도 쓸 수 있도록 했다.
지난 1988년 ‘한글맞춤법’ 규정의 부록으로 처음 선을 보였던 ‘문장 부호’는 지난 2012년도부터 문체부와 국립국어원가 개정작업에 착수, 올해 8월 29일 국어심의회에서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이를 확정 고시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