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 10시간 넘게 조서 열람…"정치 보복 중단하라"
특검 "추가 소환 계획 없어…조사 내용 검토 후 영장 청구 검토"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31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마련된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친 뒤 나오며 마중나온 장동혁 대표, 송언석 원내대표와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국회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 방해 의혹과 관련한 내란특검의 밤샘 조사를 마치고 31일 오전 귀가했다. 특검은 추 의원에 대한 조사 내용을 검토한 후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추 의원은 이날 오전 9시6분쯤까지 내란특검의 조사를 마친 후 특검 조사실이 마련된 서울고등검찰청 청사에서 나왔다. 서울고검 청사 앞에는 장동혁 대표, 송언석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가 추 의원을 마중 나오기도 했다.
특검은 전날 오전 10시쯤부터 밤 9시25분쯤까지 추 의원에 대해 조사를 벌였다. 이어 추 의원은 밤 10시10분부터 이날 오전 8시45분까지 10시간 넘도록 조서 열람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의원은 청사에서 나온 후 기자들과 만나 "계엄 당일에 있었던 사실관계에 대해서 소상히 설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제 정권은 정치탄압, 정치보복을 중단하고 민생을 챙기라고 당부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였던 추 의원은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른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추 전 원내대표는 계엄 선포 이후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하면서 장소를 국회→당사→국회→당사로 세 차례 변경했다.
이로 인해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은 당시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못했고, 국회의 해제 요구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석 190명·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를 상대로 의원총회 장소를 세 차례 변경한 이유 등을 집중적으로 물어본 것으로 전해졌다.
박지영 내란 특검보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수사팀이 전날 추 의원을 상대로 준비한 질문을 모두 소화했다며 "추가 소환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특검팀은 추 의원에 대한 조사 내용을 검토한 후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 특검보는 "추 의원에 대한 조사 내용을 보고 혐의 유무를 판단할 것 같다"며 "(혐의가) 충분히 입증된다고 하면 형사소송법에 따른 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