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숨진 김문기 유족 "고인은 실무자였을 뿐" 억울함 호소


입력 2021.12.22 15:08 수정 2021.12.22 15:10        김수민 기자 (sum@dailian.co.kr)

"공사측 징계·고발에 충격받은 듯…책임 떠넘기려고 한 것 아닌가"

성남도시개발공사 김문기 개발1처장이 21일 오후 8시 30분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남도시개발공사 사무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이날 사건 발생 뒤 경찰 관계자가 현장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숨진 채 발견된 성남도시개발공사(이하 성남도개공) 김문기 개발1처장의 유족은 "고인은 실무자였을 뿐"이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김 처장의 동생 A씨는 22일 김 처장의 빈소가 마련된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서장이라고 하더라도 위에 결정권자 없이는 (사업을 추진할) 힘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처장이 숨지기 하루 전 함께 점심을 먹었다고 밝힌 A씨는 "당시 형에게 밥을 떠먹여 줘야 했을 정도로 몸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어 "형은 줄곧 '실무자로서 일한 것밖에 없다'고 하며 억울해했다"며 "특히 사측이 자신에게 중징계하는 것도 모자라 형사고발하고 손해배상청구까지 한다는 얘기를 나에게도 해줬는데 회사의 이런 조치로 충격을 크게 받으셨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형은 고인이 된 유한기 전 개발사업본부장을 언급하며 그분이 돌아가신 이유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없어서'라고도 했다"며 "공사 측은 대장동 사건과 관련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중징계와 형사고발 등 방법으로) 부서장이었던 형에게 대외적으로 책임을 떠넘기려고 한 게 아닌가 한다"고 주장했다.


A씨는 김 처장에 대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수사기관의 조사 방식에 대해서도 불만을 내비쳤다.


그는 "검찰과 경찰이 개인 하나를 두고 몇 번씩 참고인 조사하다 보니 형이 현직 실무자로서 중압감을 크게 받았고, 이를 감당하지 못한 것 같다"면서 "자세한 조사 내용은 모르지만 수사 기관이 형의 업무 영역이 아닌 것까지 '하지 않았냐'는 식의 질문을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어 A씨는 "형은 억울하게 돌아가셨다. 형이 이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게 만든 이 나라, 이 정권, 모든 것이 원망스럽다"고 말했다.


김 처장은 올해 초까지 대장동 개발의 실무 책임을 맡았던 인물로 유동규 전 기획본부장과 함께 대장동 사업협약서에서 초과 이익환수 조항을 삭제한 핵심 인물이라는 의혹을 받았다. 이달 10일 극단적 선택을 한 유한기 전 개발사업본부장 바로 아래 직급이다.

김수민 기자 (su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수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