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경총,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불법 점거 지속에 "공권력 집행해야"


입력 2022.07.17 11:38 수정 2022.07.17 11:38        이슬기 기자 (seulkee@dailian.co.kr)

"장기적으로 조선업 국제경쟁력에도 커다란 타격"

서울 대흥동 한국경영자총협회 회관 전경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17일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가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도크(배 건조 작업장)을 점거하고 있는 데 대해 "불법행위에 따른 국민 경제의 현저한 피해가 더는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공권력 집행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총은 이날 경영계 입장을 내고 "정부가 현존하는 불법 앞에서 노사의 자율적 해결만을 강조해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민주노총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는 임금 30% 인상, 집단교섭 등을 요구하며 지난달 22일부터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의 핵심 시설인 도크와 건조 중인 선박을 점거하고 있다.


경총은 이로 인해 회사는 매일 약 316억 원의 매출 및 고정비 손실이 발생해 지금까지 약 6000억 원의 누족 손실을 입었다며 "하청지회 조합원들의 불법점거와 극단적인 불법행위가 대우조선해양의 경영회복 노력을 무위로 돌리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총은 " 그간 우리 조선업은 해운 경기 침체 및 국제경쟁 심화, 원자재 가격 상승, 고임금 저효율 구조로 장기간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그러나 "최근 대우조선해양은 카타르 프로젝트 물량이 본격 발주되면서 6개월여만에 연간 수주목표의 99.4%를 달성하는 등 경영회복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이같이 지적했다.


이어 " 행위가 대우조선해양의 경영회복 노력을 무위로 돌리려 하고 있다. 도크가 마비되면 그 공정에만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후 공정 모두에 생산차질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그 피해는 원청뿐만 아니라 수많은 협력업체와 근로자들에게 미치게 된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이같은 도크 불법 점거가 계속되면 선주사의 대외 신인도 저하와 더불어 장기적으로 조선업의 국제경쟁력도 커다란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경영계는 하청지회가 우리 조선업과 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불법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업무에 선복귀한 후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슬기 기자 (seulk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