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분야 6~7개 작업반 구성 실무 협의
통화정책, 기재부-美 재무부간 별도 논의
"5~6월 초 의사 결정 끝나는 것은 없어"
"다음 정부 이어 달리기에 부담 안줄 것"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제 1차관은 28일 "이번 주에 미국과의 기술적 협의를 개시하고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방한하는 5월 중순 장관급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차관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방미 결과 백브리핑을 갖고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는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하되 7월 8일까지 줄라이 패키지(7월 패키지)를 만들어가자는데 공감대를 이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익 최우선 원칙 하에 7월 패키지 협의에 임할 것"이라며 "이번 주 중후반 기술 협의를 통해 작업반 구성이 완료될 예정이며 이르면 차주부터 본격적인 작업반 회의가 개시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작업반은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서 비관세를 포함해 6개 내외로 구성될 전망"이라며 "기술 협의는 산업부 통상정책국장이 총괄을 하게 되고 각 작업반에는 관계 부처들이 대거 참여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등 3개 분야에 대해 6~7개 작업반을 구성해 실무협의를 하고 장관급 협의를 거치면서 완성도를 높일 방침이다. 통화정책의 경우 기획재정부와 미국 재무부간 별도의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박 차관은 "5월 중순 그리어 대표가 방한하는 계획에 맞춰 장관급 협의를 진행하고 그동안 작업반에서 진행한 사항에 대한 평가와 추가적으로 필요한 지침을 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실무협의를 통해 차기 정부가 구성되기 전 미국과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 인하 또는 폐지를 이끌어 낼 수 있냐는 질문에 "7월 패키지는 종합적으로 담는다는 의미로 이론상 5월말 또는 6월초에 의사 결정이 끝나는 것은 없다"며 조기 대선이 끝나기 전에 의미있는 결과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미국이 제시한 협상일은 71일로 워킹데이를 계산하면 더 적다"며 "지금은 정형화된 협상이 아니라 비정형화된 협상이라 틀을 짜는 것도 오래 걸린다"고 부연했다.
박 차관은 "협상을 어떻게 끌어낼 지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더 타이트한 스케줄로 일정을 소화하는 것 만으로도 70일만에 결실을 맺기에 도전적인 상황"이라며 "양국의 관심 사항이 명확하고 이견이 없이 속도를 낼 수 있는 것은 속도를 내고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부분에 대해선 이를 감안해서 무리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다음 정부가 이어 달리기를 하는 데 있어서 현 정부가 부담을 줘서는 안된다는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