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2일(현지시간) ‘과거사 문제에는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과 중국도 책임이 있다’는 웬디 셔먼 국무부 차관의 발언에 대해 “특정 지도자나 국가를 겨냥한 발언이 아니었다”고 해명하며 진화에 나섰다.
셔먼 차관의 발언 직후 한국과 중국의 반발이 심해지자 해당국들과의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마리 하프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셔먼 차관의 발언은 미국 정책의 변화를 절대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며 “특정인이나 특정 국가에 대해 의도된 것도 분명히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그녀의 발언을 역내(동북아시아)의 어떠한 특정 지도자를 향한 것으로 해석하는 일부 시각을 보고 다소 놀랐다”며 문제의 발언이 국무부 차원의 입장을 대표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했다.
하프 부대변인은 “미국 정부는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가장 중요한 동맹국인 일본과 한국의 건설적인 관계가 역내 평화와 번영을 진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한·미·일 세 나라는 공유할 많은 것들을 갖고 있으며, 셔먼 차관은 특정 개인이나 특정 국가에 대해 발언한 것이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국무부는 이와 별도로 대변인실 명의로 외신기자클럽에 전달한 언론 논평에서 "우리는 과거사 문제에 치유와 화해를 촉진하는 자세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며 "우리가 수차례 언급했듯이 무라야마 총리와 고노 전 관방장관의 사과는 일본이 주변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하나의 중요한 획'을 그었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며 "2차 세계대전 당시 성을 목적으로 한 일본군의 여성 인신매매 행위는 끔찍하고 극악한 인권위반"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셔먼 차관은 “(동아시아에서) 민족감정은 여전히 악용되고 있고 정치지도자가 과거의 적을 비난함으로써 값싼 박수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밝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대해 한국에서는 김을동 새누리당 의원이 “일본의 진정한 반성과 사과가 있을 때 한일관계가 발전할 수 있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미국이 찬물을 끼얹었다”고 비판하는 등 반발 여론이 들끓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