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양서 생물 생존 제로 '데드 존' 발견
길이 160km 길이로 하루 4~5km 대서양 중심으로 이동
바닷물에 용해된 산소량이 적어 생물이 살 수 없는 '데드 존'(Dead Zone)이 대서양에서 발견됐다고 주장이 나왔다.
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독일 키일(Kiel)대학의 키일대양연구센터(GEOMAR) 연구팀이 서아프리카 해안에서 수백km 떨어진 대서양에서 산소 용도가 매우 낮은 '데드 존'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을 이끈 요하네스 카르스텐센은 "길이 160km 길이의 소용돌이들이 발생해 한 번에 수개월 동안 하루 4~5km 대서양 중심으로 움직인다"고 설명했다.
대개 데드 존은 호수나 수심이 얕은 해안가에서 발견된다.
연구팀은 대서양에서 발견된 데드 존은 대양에서도 산소 용량이 빠르게 소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카르스텐센은 "소용돌이들의 빠른 회전이 소용돌이 내부 영역과 바깥 해양 간 경계 지점에서 산소 이동이 어렵게 만든다"며 "해류가 해조류의 왕성한 번식 환경을 제공하는 매우 얇은 층을 소용돌이 층 위에 만든다"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