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탄창 바꾸기 귀찮아 실탄 10발 지급, 피해 키웠다


입력 2015.05.13 18:59 수정 2015.05.13 21:04        스팟뉴스팀

관심병사에 실탄 지급, 통제요원 부족 등 문제점 지적

국방부 부랴부랴 예비군 훈련장 실탄지급 실태·안전 조치 파악 중

13일 서울 내곡동 강동송파 예비군 훈련장에서 동원훈련을 받던 예비군이 사격훈련중 총기를 난사한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예비군훈련장 부대 건물에 군 관계자들이 보이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13일 서울 내곡동 예비군 동원훈련장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과 관련, 갖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군 당국이 예비군 훈련장의 실탄 지급 실태와 안전 조치를 제대로 점검하지 않고 허술하게 다뤘다는 지적이다.

이날 육군이 발표한 잠정 조사결과에 따르면, 총기를 난사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모 씨(23)는 10발이 든 탄창을 K-2 소총에 끼우고 1발을 영점사격한 뒤 옆에 있던 예비군을 향해 총 7발을 난사했다.

그러나 일부 국방 전문가와 군 관계자는 통상 예비군 훈련장에서는 영점사격 때 실탄 3발을 지급하고 측정사격 때 실탄 3발이 든 탄창 2개를 지급하거나 6발이 든 탄창 1개를 지급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영점사격 때 3발을 쏘고 탄창을 바꿔 끼우려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우발적인 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이번 총기 난사가 벌어진 예비군 훈련장에서는 한번에 10발이 든 탄창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져 해당 부대의 실탄 지급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고 발생 가능성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훈련 시간을 줄이기 위해 실탄을 한꺼번에 지급했다는 것이다.

특히 총기 난사 당시 탄창에 시란이 3발만 들어있었다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다만, 실탄 지급 방식은 현장 지휘관의 통제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어 예비군 훈련장의 실탄 지급 방식에 대한 획일적인 지침과 치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군 당국이 현역시절 B급 관심병사로 분류됐던 최 씨에 대해 특별관리를 하지 않고 아무런 대책 없이 일반 병사와 똑같이 실탄을 지급하고 사격훈련을 하도록 한 것에 대해서도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최 씨는 관심병사로 분류돼 부대를 여러 차례 옮긴 바 있으며, 병적기록상에도 우울증 치료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씨가 돌발행동을 벌일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군 당국이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 대수롭지 않게 여겨 결국 끔찍한 사고를 유발했다는 지적이다.

이밖에 예비군의 실탄사격을 통제하는 안전 조치에 대해서도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에서는 총 20개의 사로가 있고 이날 20개 사로를 모두 사용했다. 이에 따라 각 사로마다 1명씩 사격통제 요원이 필요하지만, 이날 사고 당시에는 현역병 6명만이 사로를 통제한 것으로 알려져 사실상 사고에 대한 예방 조치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비판이다.

이날 사격훈련이 행해질 당시 20개 사로(사격구역)의 맨 좌측에 있던 최 씨는 사격개시 신호 직후 자신의 오른쪽 2, 3, 4, 5사로에 있던 예비군을 향해 소총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최 씨가 있던 사로에 사격통제 요원이 있었다면, 그가 옆 예비군에게 총을 쏘기 전 즉각적으로 행동을 제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국방부와 육군은 이번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는 한편, 전 예비군 훈련장을 대상으로 실탄 지급 방식과 안전 조치에 대해 실태 파악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국방부 관계자는 “예비군 훈련 관리부대 지휘관에게 훈련장 위해 요소가 없는지 현장에서 즉각 파악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