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자들' 없는 더민주 공관위 "너무 참신해 문제"
"공정성 담보 위해 현역 의원들 참여시키지 않아"
"공천 과정에서 친노나 비주류 운명은 지켜봐야"
'현역 의원'을 찾아보기 힘든 더불어민주당의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가 지난 10일 출범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공정성'을 강조했다지만 정계와 무관한 인물들이 다수 보여 '현실정치'와 동떨어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더민주는 지난 10일 남성 위원 3명과 여성 위원 4명의 '외부자들'로 공관위를 꾸려 발표했다. 새누리당이 지난 6일 '내부자들(당내 인사)' 5명이 포함된 공관위를 꾸린 것과는 사뭇 대조됐다. 새누리당의 경우 당내 사무를 담당했던 황진하 사무총장,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 김회선 클린공천지원단장 등을 포함한 명단을 우선 발표했다가 '청년' '여성' '정치적 소수자'를 대변할 수 있는 외부위원 6명을 추가로 인선했다.
홍창선 더민주 공천관리위원장은 공관위 인선을 발표하는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현역 의원들을 한 분도 참여하지 않게 했다"라며 "앞으로 최대한 공정하게 (처리) 하겠다"고 구성 배경을 밝혔다.
이어 공관위 구성 전부터 꾸준히 오르내리던 '현역 의원 20% 물갈이'에 대해서는 11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굳이 20%라는 숫자에 얽매이지 않겠다. 대한민국을 업그레이드 시키고 세상을 바꾸는데 맞는 사람들이 좀 많이 들어가야 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20%다, 10%다, 30%다 이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며 "경우에 따라선 더 많을 수도 있다. (이 말을 들은 현역의원들이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다면) 정신을 차리면 된다"고 말해 현역 의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일단 내부자들이 없는 더민주 공관위 구성에 일단 다수의 더민주 지지자들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공천을 놓고 더 이상 '친노' '친문'과 같은 계파 논쟁이 벌어지지 않을 것이고, 정계와 뚜렷한 끈이 없는 외부자들이 공천 업무를 악의적으로 처리하지는 않겠냐는 기대감에서다.
전남의 한 현역 의원은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공관위 명단을 보자마자 아는 분들이 없어서 놀랐다"라며 "참신성이나 연령 등을 고려해서 뽑은 것 같다. (하위 20% 컷오프는) 본회의 참석률 등 실적에 따라 평가될 거라 믿고 있다"고 공관위에 대한 생각을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당안팎에서는 지난해 10월 이뤄진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구성을 언급하며 때 이른 '책임론'도 흘러나오고 있다. 김인석 전 한국여성민우회 대표, 문진영 서강대 신학대학원 사회복지학 교수 등 외부인사 10명으로 평가위가 구성됐을 때도 정확한 평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는데 공관위라고 다르겠냐는 것이다.
지난해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일부 의원은 "(평가위가) 100% 외부 위원들로만 구성돼 (의원들을) 평가한다면 (그들이) 국회를 잘 모를 수밖에 없는데 정확한 평가와 진단을 할 수 있겠는가라는 의문이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전했고, 또 다른 의원은 "원칙적으로는 찬성하지만 평가위 구성은 전원 외부 인사보다는 당내 인사도 포함시켰으면 한다"고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3선(16,17,18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장선(58) 총선기획단장과 더민주와 인연이 있는 우태현(51) 전 한국노총중앙연구원 그리고 김현태(49) 한림국제대학원 겸임 교수가 공관위에 전진 배치돼 이 같은 우려를 잠재우고 있지만 '외부 혁신 인사' 카드가 공천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는 미지수다.
이에 대해 이종훈 시사평론가는 "공천 관련 책임을 묻자면 민주정책 연구원에서 부원장을 지내기도 했던 우태현(51) 한국노총중앙연구원 연구위원이나 김현태 전 민주당전략기획위원장이 일부를 떠안을 수도 있다"라며 "향후 전화여론 조사 등을 통해 (공관위원들이) 공천 받을 의원들을 고르고 처내는 작업에서 친노나 비주류의 운명이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