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할 거 다했다" 인사혁신처 거짓말 ‘들통’
도어록에 적힌 비밀번호 정황 확인, PC 보안 지침도 미준수
7급 공무원 응시생 송 씨(26)가 정부서울청사에 침입해 보안 논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인사혁신처가 사건 축소를 위해 거짓 해명한 정황이 포착됐다.
앞서 경찰은 송 씨가 채용관리과 출입문의 잠금장치(도어록)를 어떻게 해체할 수 있는지에 대해 수사를 벌였다. 송 씨는 “벽면에 비밀번호 4자리 숫자가 적혀 있는 것을 발견하고 사무실에 들어갔다”고 진술했으며 이에 지난 6일 혁신처 채용관리과장은 “벽면에 비밀번호를 적어놓은 적이 없다”며 “과장인 나도 가끔씩 비밀번호가 생각나지 않아 직원들에게 전화로 물어봤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7일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청소부 아주머니와 청사 방호담당자 등에게서 ‘도어록 옆에 비밀번호가 적혀 있었다’는 복수의 진술을 확보했다”고 전했으며, 한 혁신처 관계자는 “혁신처 차원에서도 사무실 도어록 옆의 비밀번호에 대해선 알고 있었다. 하지만 수사를 의뢰한 부처가 경찰보다 앞서 외부에 공개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보았다”고 진술했다.
시험 담당자의 PC는 보안지침을 준수하고 있었으나 송 씨가 이를 적극적으로 해체했다는 해명도 일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6일 혁신처는 송 씨가 인터넷에 떠도는 소프트웨어를 갖고 들어와 이를 통해 PC의 암호체계를 뚫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경찰 조사 결과 두 대의 PC는 모두 ‘CMOS(시모스) 암호’를 설정하지 않았고, 중요문서에도 암호를 걸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정보원 보안지침에 따르면 모든 공무원의 PC는 부팅 단계 보안인 시모스 암호를 설정해야한다. 정확한 암호를 모르는 외부인은 컴퓨터 내부를 열고 일부 부품을 뺐다 조립해야만 암호를 해체할 수 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을 송 씨의 단독 범행으로 결론짓고 다음주 초 검찰에 송치할 예정이며, 이어 정부서울청사와 인사혁신처를 대상으로 한 수사에 돌입할 계획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