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고 탈 많은' 토익, 국가고시에서 배제될까
인사처 "토익 등 주최 측에 보완 강화 방안 요구하는 공문 발송"
최근 공무원 시험 성적 조작 혐의로 검거된 송모 씨(26)가 ‘7급 지역인재’ 응시를 위해 치른 토익시험에서까지 부정행위를 한 사실이 드러난 가운데, 인사혁신처는 토익시험 전반에 대한 정밀 검증을 실시키로 했다. 이에 따라 토익이 국가공무원 시험에서 배제될지 여부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인사처 관계자는 17일 "토익 점수를 더이상 신뢰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토익시험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 있으며, 신뢰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공무원 시험에서 토익을 배제하는 방안까지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즉 토익시험을 주최하는 측에서 실효성 있고 강도 높은 보완 대책을 내놓지 않을 경우, 토익을 공무원 시험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고려하기로 한 것이다.
인사처 관계자는 이어 "토익시험이 그토록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는데 어떻게 토익성적을 인정할 수 있겠냐"면서 "토익시험 주최 측에서 상당한 수준의 강화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경찰 조사 결과, 송 씨는 지난해 2월8일 토익시험에서 약시(교정시력 0.16) 판정 내용이 담긴 허위진단서를 제출해 일반 응시생보다 시험시간을 늘려 받았다. 전날인 2월7일자 시험에서도 같은 진단서를 제출, 독해(R/C) 영역 시험시간을 당초 75분에서 90분으로 늘려 받았다.
2014년 당시 송 씨의 토익 점수는 700점을 넘지 못해 자격요건에 미달했으나, 이처럼 허위진단서 제출을 통해 치른 이듬해 2월 시험에선 700점을 넘겼다.
인사처는 이에 대해 토익시험을 관리하는 YBM시사 한국토익위원회가 ‘장애인 응시 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엄격한 시험 관리를 위해 최근 YBM시사 한국토익위원회에 공문을 보내 장애인 편의지원 운영 현황과 개선 계획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한 토플, 플렉스, 지텔프 등 4개 영어능력검정시험 시행 기관과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관리하는 국사편찬위원회에도 같은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지역인재 7급 공채시험을 비롯해 국가공무원 5급 공채 시험과 외교관후보자 선발 시험의 공통점은 일정 점수 이상의 토익과 토플, 텝스, G-TELP, FLEX 성적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사실상 수험생의 80% 이상은 토익 점수를 제출할 정도로 토익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시험은 현재 자체적인 영어 시험을 출제하고 있으나, 오는 2017년부터는 토익이나 토플, 텝스와 같은 공식 영어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상황이 이런 만큼, 토익이 국가공무원 시험에서 배제될 경우 수험생들 사이에 상당한 파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인사처 측은 "현재 토익위원회 등에 공문을 보내고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단계"라며 "현 상황에서 토익시험을 배제할지 여부는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